검찰이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을 지냈던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대한 회계 부정 의혹에 대해 본격적으로 수사에 나선 모양새다. 5일 경기도 안성에 있는 ‘평화와 치유가 만나는 집’과 이 집을 건축한 업체를 전격 압수수색했다.
5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서부지검 형사4부(부장검사 최지석)는 이날 오전 11시부터 경기도 안성 상중리에 있는 ‘쉼터’ 건물을 압수수색했다. 수사팀은 안성 쉼터에 도착한 뒤 정의연 관계자에게 전화를 걸어 “(압수수색을 위해) 쉼터에 왔는데 아무도 없다”며 협조를 요청했고 정의연은 변호인단을 통해 건물 도어록 비밀번호를 알려줬다. 정의연 변호인단 관계자는 “주요 자료는 이미 지난달 20일부터 21일까지 했던 압수수색을 통해 건넨 상황”이라면서 “변호인 및 정의연 관계자는 동석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와 동시에 검찰은 이 건물을 지었던 건축사인 금호스틸하우스 역시 압수수색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업체 관계자 등으로부터 컴퓨터 및 회계 자료 등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업체 대표는 지난달 국민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부부 내외가 함께 살기 위해 비싸게 지었는데, 완공 전 이규민 당시 안성신문 대표가 ‘위안부 할머니들을 모시고자 한다’는 취지로 판매를 권해 응했다”고 말한 바 있다.
정대협은 지난 2013년 현대중공업이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지정 기부한 10억원 중 7억5000만원을 쉼터 구입자금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당시 비슷한 규모의 주변 주택의 시세는 4억원이 넘지 않아 ‘업(up) 계약’을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이후 안성 쉼터는 2015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업 평가에서 5단계 중 3번째인 C등급, 회계평가는 가장 낮은 F등급을 받았다. 공동모금회 측은 정의연에 “시설 활용도가 떨어지고 각종 서류 및 영수증이 미비하다”며 경고 조치했지만, 정의연 측은 시설을 매각하고 사업비를 반납하겠다는 의견을 제출했다. 사업은 2016년 최종 중단됐고 지난 4월 쉼터 역시 70대 노부부에게 매각됐다.
검찰은 이미 복수의 정의연 및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회계담당자들을 4차례에 걸쳐 참고인 조사를 마친 상태다. 회계 부정 문제를 집중적으로 캐묻기 위해 회계 전문 수사관을 동원했고, 정의연 변호인단 역시 회계에 밝은 변호인을 추가로 선임해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29일 기자회견을 자청한 윤 의원이 쉼터 매각과 관련돼서도 집중적으로 해명한만큼, 조만간 검찰이 윤 의원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조사하지 않겠냐는 관측이 나온다.
황윤태 기자 trul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