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이지 않는 역대 대통령 사저 논란…문 대통령은

입력 2020-06-05 09:45
노무현 대통령 사저. 국민일보 DB

역대 대통령의 퇴임 후 사저는 수차례 구설수에 올랐다. 호화 사저 논란 뿐 아니라 사저 매입 과정에서 대통령 측근이 기소되는 일까지 벌어졌다.

대통령 사저 논란의 시작은 전두환 전 대통령의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이었다. 1981년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사저 주변 부지매입·공사비 등을 국고로 충당했다. 연희동 자택은 대지 818㎡(약 247평)에 연면적 238㎡(약 72평)로 별채가 따로 마련돼 있다. 그 화려함에 연희궁이라고도 불렸던 이 집은 전 전 대통령 내외의 미납 추징금으로 가압류당할뻔 했다.다만 부인 이순자씨 명의여서 무위에 그쳤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청와대를 나가면 옛 모습 그대로의 서울 상도동 집에 돌아가겠다”고 수 차례 공언했다. 그러나 임기 말에 8억원을 들여 상도동 집터에 사저를 신축했다. 외환위기 와중이라 호화 사저 논란이 일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울 마포구 동교동 자택은 최근 소유권을 두고 2남 김홍업 김대중평화센터이사장과 3남 김홍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법적 분쟁을 벌여 논란이 됐다. 이희호 여사가 별세한 뒤 김 의원은 감정액 30억원에 이르는 이 집의 명의를 자신 앞으로 돌렸다. 김 이사장은 김 의원이 “사저를 대통령 기념사업에 사용해달라”는 유언을 따르지 않았다면서 부동산 처분금지 가처분신청을 냈고, 지난 1월 법원의 인용 결정을 받았다. 그러자 김 의원 측은 가처분 이의신청서를 법원에 제출했다.


사저 논란이 가장 뜨거웠던 건 노무현, 이명박 전 대통령 때다. 노 전 대통령은 고향인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 사저를 신축했다. 넓은 부지가 논란이 되며 일부 보수 언론등이 ‘아방궁’이라고 비판했다. 퇴임 대통령 사저가 서울이 아닌 지방에 조성된 것은 처음이었는데, 특히 경호시설 규모가 급격히 넓어진 것을 두고 말이 나왔다. 경호시설 건립 비용으로 35억7900만원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 전 대통령은 서울 내곡동에 아들 명의로 땅을 매입해 퇴임 이후 사저로 쓰려 했다. 그 과정에서 부동산실명제법 위반과 배임 의혹 등이 불거졌다. 결국 특검 수사 끝에 청와대 경호처장 등이 기소됐다. 이 전 대통령은 대통령 취임 전에 살았던 서울 논현동 자택을 재건축해 입주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7년 서울 구치소에 수감되기 직전 67억5000만원에 서울 강남구 삼성동 자택을 팔고 28억원에 내곡동 사저로 이사했다. 매각 대금은 소송 비용 등에 쓰인 것으로 전해졌다.


5일 문재인 대통령 퇴임 이후 지낼 사저를 마련하기 위해 경남 양산 평산마을 일대 부지를 매입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화제가 되고 있다.

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 대통령 경호처는 지난 4월 29일 평산마을 내 부지와 주택 등 3800여㎡를 14억7000여만 원에 샀다. 부지에는 문 대통령 부부가 퇴임 뒤 지낼 주택과 경호원 숙소, 근무시설 등이 들어설 것으로 알려졌다. 사저는 대통령 개인 돈으로 구입하지만, 경호원 숙소와 근무시설 등에는 국가 예산이 들어간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