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여야 초선 공동선언문, ‘일하는 국회’ vs ‘협치’로 무산될 판

입력 2020-06-04 16:59

151명에 달하는 21대 국회 여야 초선 의원들이 의정활동에 임하는 각오를 담아 ‘21대 국회 공동선언문’ 발표를 추진했으나 내용과 문구에 대한 이견으로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협의 과정에서 여야 간에 문제가 됐던 표현은 ‘상생과 협치’ ‘일하는 국회’ 두가지다. 더불어민주당 초선 의원들은 선언문에 ‘상생과 협치’, 미래통합당 초선 의원들은 ‘일하는 국회’ 표현을 각각 문제 삼으면서 선언문 채택이 어려워진 것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4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21대 국회에서 초선이 절반을 넘은 상황이라 이번 국회에서는 초선 의원들이 함께 역할을 해보자는 뜻에서 공동선언문 작성을 제안하게 됐다”며 “단순히 선언적인 의미만 담은 게 아니라 구체적인 알맹이와 의지를 담은 선언문을 마련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민주당 초선 의원들의 이런 제안에 따라 여야 원내부대표단의 초선 의원들은 공동선언문 작성을 위해 2차례 회동을 가졌다. 민주당과 통합당이 각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해 작성한 선언문을 가지고 만났고, 하나로 합치기 위한 논의를 진행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민주당은 ‘일하는 국회’를 강조하면서 ‘협치’와 ‘상생’ 같은 표현은 빼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동안 ‘협치’를 앞세워 국회를 공전시켰던 과거 관행과 결별해야 한다는 김태년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의 입장을 반영한 것이다.

이와 관련 통합당 관계자는 “민주당 선언문 초안엔 당 지도부가 주장하는 국회 개원과 법제사법위원회 개선 방안 등이 그대로 담겼다”며 “우리가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가 초선의원 자세 등의 내용을 새로 넣어 작성한 ‘21대 초선의 초당적 선언문’을 민주당에 다시 제안한 상태”라며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선언문을 준비해온 여야 양측 의원들은 추가 회동을 통해 최종 의견을 조율할 예정이다. 하지만 실제 공동선언문 발표까지는 쉽지 않아 보인다.
통합당 초선 의원은 “여야 수뇌부가 원구성 협상을 진행하는 상황에서 초선 의원들이 국회 운영 방안 등을 언급하기 어렵다”며 “상호 간에 선언문에 담고 싶어하는 내용의 간극이 너무 크다”고 말했다. 민주당 초선의원은 “우리가 강조하는 ‘일하는 국회’를 통합당이 동의하지만 동시에 거부감도 있다”며 “일하는 국회를 강조하면, 마치 그동안 일을 못했던 것이 통합당 때문이라는 프레임에 갇힌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박재현 심희정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