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가 로봇업무자동화(RPA)·인공지능(AI) 기술을 결합한 자동 급여이체 기술을 개발, 국내 최초로 ‘자동 급여 이체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4일 밝혔다. 회사는 서비스를 KB국민은행 영업점에서 처음 상용화하면서 금융권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RPA는 사람이 하는 단순 업무를 로봇이 대체하는 기술로 점차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LG CNS는 RPA에 AI를 더했다. 복잡한 업무도 자동화가 가능해지면서 은행의 급여이체 같은 사람의 판단이 필요한 업무를 대체할 수 있다.
기존에는 은행의 급여 이체 담당자가 기업으로부터 받은 급여 대장을 메일에서 골라 은행 내부망으로 옮겼다. LG CNS RPA는 마우스 클릭 한번 필요 없이 위 업무를 대신 수행한다.
은행 내부망으로 옮겨진 데이터는 AI가 이어받는다. 은행이 접수하는 급여 대장은 기업마다 양식과 표현이 제각각이다. 급여액, 직원명, 예금주, 계좌번호 등이 섞여 있고, 제목 없이 데이터값만 있는 경우, 문서의 셀이 병합된 경우, 필요 없는 데이터가 많은 경우도 다반사다.
수십만개의 급여 데이터를 학습한 LG CNS AI는 급여 이체에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하는 작업을 시작한다. 은행 담당자가 시스템에 입력된 데이터만 확인하면 급여지급이 자동으로 처리된다. 고객 서비스 시간은 증가시키고, 야근 시간은 줄어든다.
LG CNS는 KB국민은행과 협력해 올 연말까지 전국 영업점 전체로 자동 급여 이체 서비스를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현재는 엑셀 문서 분석을 통한 급여 이체 만 가능하지만 워드·한글 문서도 분석하고 퇴직연금·경비도 지급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LG CNS 개발혁신센터 이호군 담당은 “RPA에 AI, 빅데이터, 챗봇 등 다양한 IT신기술을 결합해 서비스 적용 범위를 확대할 것”이라 밝혔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