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혜 논란’ 부산 운촌항 마리나 사업…재추진 검토

입력 2020-06-04 15:28
마리나항만개발 조감도. 해양수산부 제공

부산 해운대 동백섬 앞 운촌항에 대규모 마리나 시설을 재정비하는 사업을 두고 사업 초기 단계부터 논란이 일고 있다. 공유수면을 매립하고 방파제를 쌓아 동백섬 일대를 마리나항으로 개발하겠다는 것인데, 해양레저 활성화 기대감과 환경 훼손에 대한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4일 부산시와 해운대구에 따르면 해양수산부는 최근 동백섬 앞 운촌항 마리나항만 개발사업과 관련해 시와 구에 ‘공유수면매립 기본계획 반영 요청’ 협의가 진행 중이다.

민간사업자인 삼미 컨소시엄이 지난해 12월 해수부에 제출한 사업계획과 관련해 본격적인 검토를 하면서 관계 기관에 의견을 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해수부는 2015년 5월 태풍 해일에 선박을 보호하고 관광객들이 동백섬과 광안대교, 마린시티 등을 조망할 수 있는 다목적 방파제를 설치하는 등 ‘거점형 마리나항만 개발사업’의 하나로 운촌항을 마리나항만으로 개발하기로 하고 삼미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삼미는 국비 274억원과 민자 257억원가량이 투입해 운촌항 일대 공유수면을 매립하고 355m 길이의 방파제를 포함해 250면의 요트 계류 시설과 공원 산책로, 주차장 등을 건립한다는 사업계획을 내놨다.

과거 운촌항에는 2009년 12월 지식경제부의 승인을 받아 2014년 해양레저 특구 사업으로 마리나 시설을 준공했으나 작은 파도에도 계류시설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드러냈다. 2016년 10월 부산을 강타한 태풍 차바 때 높은 파도로 인해 설치된 계류시설이 파손됐다. 삼미 측은 이후 시설 복구에 엄두를 내지 못했고, 해양레저 사업이 사실상 마비된 채 4년이 지났다.

운촌항의 마리나항만 개발 사업은 사업 추진 절차를 밟아 가던 중 해운대구 일부 주민과 시민·환경 단체의 찬반 논란과 특혜 논란 속에 사업 진행이 사실상 마비된 채 4년이 지났다. 시민 단체는 컨소시엄 주관사인 삼미가 '더베이101'이라는 상업시설을 운촌항 앞에서 운영하고 있어 이곳에 막대한 국비를 투입해 마리나 사업을 하면 시민을 위한 친수공간보다는 사업자의 수익을 보장해 주는 특혜 시비로 번질 수 있다고 우려해 왔다. 환경 단체도 운촌항 매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훼손 문제를 우려한다.

사업자 측은 마리나 항만이 조성되면 부산의 해양 레저 기능 강화는 물론이고 고용 창출과 방파제 설치로 인한 일대 자연재해 예방 효과 등도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