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진출 미국 기업 30%, 싱가폴 대만 등 이전 고려

입력 2020-06-04 15:16
(홍콩 로이터=연합뉴스) 마스크를 쓴 홍콩 민주화 시위대가 1일 센트럴 지구의 한 쇼핑몰에서 성조기를 내걸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홍콩 진출 미국 기업 중 30%가 홍콩 이외 지역으로의 이전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전 고려 지역으로는 미국, 영국 런던, 싱가포르, 대만 타이베이 등을 꼽았다.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추진 영향 탓이다.

주홍콩 미국 상공회의소가 홍콩에 진출한 미국 기업 등 180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응답 결과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4일 이를 보도했다. 기업이 아닌 응답자 개인이 홍콩을 떠날 계획이 있는지를 묻는 말에는 응답자 37%가 ‘있다’고 답했다.

SCMP는 그래도 70%는 남으려 한다는 것에 의미를 뒀다. 왜냐하면 홍콩보안법에 대해 우려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3%가 '매우 우려한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30%는 '상당히 우려한다'고 답했고 우려하지 않는다는 대답은 17%에 그쳤다. 응답자 60%는 홍콩보안법이 사업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홍콩보안법은 외국 세력의 홍콩 내정 개입과 국가 분열, 국가정권 전복, 테러리즘 행위 등을 금지·처벌하고, 홍콩 내에 이를 집행할 기관을 설치하는 내용을 담았다. 지난달 28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가 초안을 통과시켰다.

홍콩보안법에 대해 한 응답자는 “기본적인 자유와 법치주의를 해치고, 홍콩 정부에 대한 불신을 키울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른 응답자들은 홍콩보안법의 적용 범위와 집행 방법 등이 애매모호하다는 점을 우려했다. 이 법으로 글로벌 금융 허브로서 홍콩의 지위가 흔들릴 수 있다고도 전망했다.

응답자 34%는 홍콩보안법에 대비한 비상대응계획(컨틴전시 플랜)을 세웠다고 답했다. 역외 은행 계좌 개설, 데이터 보안 강화, 아시아태평양 지역 미래 전략에서 홍콩 배제 등이 그 전략이다. 한 응답자는 “홍콩에 대한 중국의 통제가 강화되는 것 같다”며 “홍콩이 다른 중국 내 도시와 같아지게 된다면 투자자들은 더는 홍콩을 중국의 관문으로 여기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