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가 곧 기회” 대전시 물류허브도시 입지 다진다

입력 2020-06-04 11:22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비대면 쇼핑이 확대됨에 따라 대전시가 물류거점도시로서의 도약에 나선다.

시는 물류·유통환경 변화를 반영, 남대전종합물류단지를 대상으로 ‘종합물류단지 지구단위계획’을 재정비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쇼핑으로의 소비패턴 변화, 물류유통사업 규모의 확대 등에 대처하기 위해 마련됐다.

통계청 조사 결과 지난 3월 기준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 대비 11.8% 증가한 12조5825억원을 기록했다.

국토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가 조사한 국내 택배물동량 추이 역시 2015년 이후 매년 10% 안팎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먼저 남대전종합물류단지의 재정비 용역에 착수한다. 물류업체가 집중된 남대전종합물류단지는 지구단위계획 재정비에 따른 경영개선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곳이다.

용역에는 남대전종합물류단지 기초조사, 교통성·경관성 검토 등이 포함된다.

시는 지구단위계획을 작성해 입주업체의 의견을 청취하고 관련 기관과 협의를 진행할 방침이다. 또 물류단지계획심의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지구단위계획 변경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대전종합물류단지의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는 내년 초 추진된다. 지구단위계획 재정비가 완료된 이후에는 물류단지 기업들의 경영환경 개선, 일자리 창출 등으로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전망이다.

대전에는 현재 대전종합물류단지·남대전종합물류단지에 대형 택배업체 4곳 등 총 160개 업체가 입점·운영 중이다.

특히 최근 대형 e-커머스업체의 입점까지 확정되며 ‘중부권 이하 물류거점도시’로서의 입지를 굳힌 상황이다.

시는 물류단지의 용지 분양이 완료됨에 따라 향후 300여 명의 지역인력 고용창출 및 600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전국 교통의 중심지인 대전의 이점을 최대한 살리도록 하겠다”며 “이번 물류단지 재정비 용역을 통해 입주업체들이 보다 원활하게 유통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