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를 두고 남북 군사합의 파기 가능성까지 거론하며 강하게 항의해 그 내용에 관심이 쏠린다.
김 제1부부장은 4일 담화를 내고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삐라살포 등 모든 적대행위를 금지하기로 한 판문점 선언과 군사합의서 조항을 모른다고 할 수 없을 것”이라며 “6·15(남북공동선언) 20돌을 맞는 마당에 이런 행위가 ‘개인의 자유’ ‘표현의 자유’로 방치된다면 남조선은 머지않아 최악의 국면까지 내다봐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문재인정부를 향해 “대북전단 살포를 저지할 법을 만들거나 단속에 나서라”고 강하게 요구했다. 김 제1부부장이 구체적으로 지목한 건 지난달 31일 탈북민단체 자유북한운동연합이 김포에서 북한으로 날려 보낸 대북전단이었다.
당시 탈북민단체 자유북한운동연합이 김포에서 대북전단 50만장과 소책자 50권, 1달러 지폐 2000장, 메모리카드 1000개를 대형풍선에 매달아 북한으로 날려 보냈다. 대북전단에는 ‘7기 4차 당 중앙군사위에서 새 전략 핵무기로 충격적 행동하겠다는 위선자 김정은’ 등의 문구가 실렸다.
이들은 지난 4월 30일에도 제21대 총선에서 북한 출신 인사 태영호 미래통합당 의원, 지성호 미래한국당 의원 등 2명이 당선됐다는 내용의 대북전단을 날려 보냈다. 자유북한운동연합은 “탈북민들이 당선된 사실이 북한 주민들에게 알려지면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이 어떤 곳인지 실감하게 될 것”이라며 “대북 전단을 계속해서 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북전단 살포는 2018년 4월 27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합의한 ‘판문점 선언’과 배치된다. 판문점 선언에는 “5월 1일부터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확성기 방송과 전단살포를 비롯한 모든 적대 행위들을 중지하고 그 수단을 철폐하며 앞으로 비무장지대를 실질적인 평화지대로 만들어 나가기로 했다”고 적시돼 있다.
김 제1부부장은 “남조선 당국이 응분의 조처를 세우지 못한다면 금강산 관광 폐지에 이어 개성공업지구의 완전 철거가 될지, 북남(남북) 공동연락사무소 폐쇄가 될지, 있으나 마나 한 북남 군사합의 파기가 될지 단단히 각오는 해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