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와 지역 경제계가 산업통상자원부의 광주지역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크게 환영하고 나섰다. 그동안 낙후의 대명사로 불리던 광주의 지역경제 활성화와 투자유치에 날개를 달게 됐다는 것이다.
광주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미래형 자동차 산업지구(빛그린 국가산단), 스마트에너지 산업지구Ⅰ(에너지 밸리 일반 산단), 스마트에너지 산업지구Ⅱ(도시 첨단 국가 산단), 인공지능 융복합지구(첨단 3지구) 등 4개 지구, 4.371㎢를 경제자유구역으로 공식 지정했다”고 3일 밝혔다.
민선 7기 역점사업으로 추진한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성사되자 시는 지역경제와 산업발전의 획기적 전기가 마련됐다며 반색했다.
경제자유구역에서는 노동, 경영 관련 규제 특례가 적용된다. 투자 규모에 따라 지방세, 관세가 감면되는 등 각종 혜택이 주어진다. 기업들이 가장 꺼리는 규제와 세금이 줄어드는 만큼 투자유치에 매력적인 요인이 확대되는 셈이다.
경제자유구역청 운영비, 투자유치비, 연구개발비, 진입도로, 상하수도, 폐기물 처리 시설 등 관련 국비도 원활하게 지원받을 수 있다.
광주시는 ‘상생과 인공지능 기반 융복합 신산업 허브’를 비전으로 삼아 광주형 일자리,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에 걸맞는 산업 구조를 재편한다는 계획을 마련했다. 풍요로운 광주로 도약하기 위해 투자유치 증대와 함께 지역 산업지형의 근본적 틀을 바꾼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시는 행정안전부와 협의해 기구·정원 승인을 받는대로 조례 등을 고쳐 내년 1월 광주 경제자유구역청의 문을 연다는 방침이다.
2027년까지 1조6279억원 규모 투자를 유치하는 목표도 설정했다.
미래형 자동차와 에너지 지구에는 광주형 일자리 합작 법인 광주 글로벌모터스, 한전 등과 연계해 관련 기업을 유치한다. 자율주행자동차와 전장분야 기술 고도화를 꾀하고 친환경차 부품클러스트, 부품인증센터 등을 설립해 친환경자동차의 전진기지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스마트에너지산업지구에는 에너지 ICT 융복합 분야가 중심이다. AI기술을 활용해 에너지 효율향상과 스마트 그리드 분야를 특화해 스마트 융복합 에너지 신산업을 육성한다.
AI융복합지구에는 빅데이터 분석기술과 관리 플랫폼 구축 분야 등에서 세계적인 연구소를 끌어와 중소기업, 스타트업의 요람으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으로 10조3641억원 생산, 3조2440억원 부가가치, 5만7496명의 취업 유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용섭 시장은 “광주 경제자유구역은 미래형 자동차, 인공지능, 에너지 등 지역미래를 이끌 핵심산단을 포괄돼 있다”며 “투자유치와 일자리 창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