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기 화물차·이륜차 보급을 지금보다 갑절 늘리고 신규 일자리 1만7000여개를 창출하는 등 ‘그린 뉴딜’ 사업 추진에 약 6000억원 예산을 투입한다.
환경부는 3차 추가경정예산안(추경)으로 6951억원을 증액 편성했다고 3일 밝혔다. ‘그린 뉴딜’ 사업에는 환경부 추경 예산 84% 수준인 5867억원을 책정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그린 뉴딜과 디지털 뉴딜을 양대 축으로 하는 ‘한국판 뉴딜’을 추진하겠다고 선언했다. 환경부 예산 대부분이 저탄소 구조로의 전환, 녹색 기업 육성 등을 골자로 하는 그린 뉴딜에 집중된 배경이다.
환경부는 추경에서 확보한 재원으로 경제·사회 전반을 저탄소 구조로 바꾸겠다고 자신했다. 이를 위해 전기화물차(1t)와 전기이륜차 보급을 2배로 확대하기로 하고 예산 1105억원을 책정했다. 자동차 미세먼지 배출량 53.0%를 차지하는 경유 화물차를 전기차로 바꿀 계획이다. 하천수를 활용한 수열 공급 관련 사업에는 30억원을 투입하고 전국 5200개 환경기초시설에 재생에너지를 설치하는데 100억원을 집행한다.
기후·환경 위기 대응을 위한 안전망 구축에는 557억원을 투입한다. 156억원을 들여 물·에너지 이용 최적화를 위한 스마트 광역 상수도를 구축하고 2022년까지 스마트 생태공장 100개소 구축을 목표로 101억원을 조성한다. 기업의 친환경 설비 교체 등을 지원하는 미래환경산업 육성 융자사업은 3300억원로 규모로 신설한다. 개발이 완료된 중소기업 환경기술 사업화를 지원하고 녹색혁신기업 성장을 지원하는 데는 약 450억원을 책정했다.
환경부는 이번 추경을 통해 일자리 1만7000개가 생길 것으로 기대했다. 이 중 재활용 분리배출 취약지역 배출 환경을 개선하는 일자리에 422억원을 들여 1만843명을 고용할 방침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대응을 위해 744명을 신규로 고용하고 해외에서 들어오는 야생동물 관리강화 인력도 500명 확충한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이번 추경에는 그린 뉴딜 전략 중 경제 회복 성과 창출이 가능한 단기과제 중심으로 담았다”고 말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