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박원순 서울시장과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통 큰 결단을 해줬다며 깊은 감사를 표명했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라는 도로 명칭을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변경하는데 적극적인 협조를 했다는 취지에서다.
이 지사는 3일 자신의 페이스북 ‘서울의 외곽 변두리가 아닌, 대한민국의 새로운 중심 경기도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국가 인구 4분의 1이 살고 있는 경기도는 명실상부 대한민국 최대 지방정부”라며 “길의 90% 이상이 경기도를 지나고 있음에도 ‘서울 외곽’이라 이름 붙은 도로가 경기도의 위상을 격하시켜왔다. 은연 중에 ‘경기도는 서울시의 변두리, 변방이다’라는 인식을 심어 온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지사는 “명칭변경은 경기퍼스트를 추구하는 자신의 1호 공약이었다”고 속내를 털어놓으며 “자칫 경기도민의 자부심에 흠집을 낼 수 있는 이 명칭 드디어 바꾸게 됐다. 이제부터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가 아닌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다. 도민들이 먼저 새 이름으로 불러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이어 “단 몇 글자의 명칭변경에 불과한 이 변화가 수도권의 상생과 협력을, 지방정부 간 존중과 균형을, 진정한 자치분권을 상징하게 되리라 확신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 지사는 “박원순 시장님, 김현미 장관님의 통 큰 결단 없이는 쉽지 않은 일이었다”며 “합리적인 판단으로 명칭변경을 이끌어 준 국토부, 서울시, 인천시, 20개 시·군·구에 감사 인사드린다”고 글을 맺었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명칭 개정이 지난 1일 국토교통부 도로정책심의를 최종 통과했다.
이 지사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라는 이름은 서울 중심의 사고”라며 명칭 개정을 본격 추진한 지 2년여 만이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는 경기(고양·파주 등 14개 시·군), 서울(송파·노원 등 3개구), 인천(부평·계양 등 3개구) 3개 광역자치단체와 20개 기초 지자체를 경유하는 총 128㎞의 왕복 8차로 고속도로다. 수도권 1기 신도시 교통난 해소를 위해 1988년 착공해 2007년 완전 개통됐다.
경기도 구간(103.6㎞, 81%)과 인천 구간(12.5㎞, 10%)이 전체 노선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서울외곽’이라는 이름이 붙어져 경기도가 서울의 외곽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심어준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명칭 변경은 4일 ‘도로노선 변경 고시’로 모든 법적 절차를 마무리 하게된다.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8월 31일까지 기존 명칭과 혼용된다. 그동안 도로표지판·교통정보시스템 내 명칭 정비를 하고 오는 9월 1일부터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라는 이름만 사용한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