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산 치료제·백신 개발을 위한 하반기 임상시험에 약 1000억원을 긴급 지원하기로 했다. 올해 안에 국산 치료제를 확보하고, 내년까지 국산 백신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정부는 3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 지원단 3차 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치료제·백신 등 개발 지원 대책’을 논의했다.
정부는 우선 치료제 분야에서는 혈장 치료제, 항체 치료제, 약물재창출 연구 등을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혈장치료제는 코로나19 완치자의 혈장을 채취·농축해 약으로 만든 것이다. 정부는 연내 혈장 치료제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다만 이 치료제를 개발하려면 완치자의 혈장이 대량 필요한만큼, 정부는 대한적십자사와 함께 경기 안산시와 대구광역시 등에서 완치자들의 혈액을 모으고 있다.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항체를 이용한 항체 치료제는 내년 개발이 목표다. 올 하반기 임상을 추진하고, 국립보건연구원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은 이에 앞서 쥐와 원숭이 등을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을 지원한다.
기존 약물에서 코로나19 약효를 찾는 약물 재창출 분야에서는 항응고제와 급성 췌장염 치료제로 쓰고 있는 ‘나파모스타트’의 효과를 평가 중이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받아 국내에서 임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백신 분야에서는 총 3건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다. 정부는 내년 하반기 백신을 개발할 수 있게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한편, 백신이 실제 개발된다면 국가 비축을 확대해 기업의 부담을 줄여줄 방침이다.
감염병 관련 연구기반도 강화된다. 감염병 연구개발의 ‘컨트롤타워’로 국립 바이러스·감염병 연구소를 신설하고 바이러스 분야 기초·원천 연구를 위한 한국 바이러스 기초 연구소 설립도 추진한다.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위기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해, 자금지원과 제품 인허가 등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코로나19 특별법’(가칭) 제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정부와 민간의 역량을 결집해 연내 국산 치료제 확보, 내년 국산 백신 확보, 2022년 방역기기 세계 시장 경쟁력 확보를 순차적으로 완료할 수 있게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