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전문가 “한국 ‘G7 확대’ 참가 합리적, 그러나 별 의미 없어”

입력 2020-06-03 11:5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안한 주요 7개국(G7) 확대 정상회의 초청에 한국이 응한 것은 합리적이지만, G7 체제 확대는 상징적일 뿐 실효성이 없다는 평가가 중국에서 나왔다.

신창 푸단대 미국연구소 부주임은 3일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 기고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확대 정상회의 초청에 응한 것은 한국이 주요 강대국 대열에 합류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합리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그러나 “한국은 경제·외교·정치 면에서 글로벌 영향력이 크지 않다”며 “한국의 정상회의 참가 여부는 큰 의미가 없고, 호주도 한국과 비슷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신 부주임은 “인도는 나름대로 생각이 있어 전략적 목표 실현을 위해 미국을 이용하고 있지만, 미국에 전적으로 순종하기를 거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러시아는 미국과의 고조되는 갈등 때문에 정상회의에 불참할 가능성이 크다고 그는 내다봤다.

그는 브라질에 대해서는 “또 다른 우파 포퓰리스트인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이 미국 정부를 따를 수도 있다”면서 “하지만 브라질의 오랜 경제 위기를 겪고 있고, 코로나19 확산이 심각해 정상회의에 신경 쓸 여력이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 부주임은 트럼프 입장에서 볼 때 G7 확대 제안은 자신의 세계적인 영향력과 미국이 글로벌 리더임을 과시하려는 ‘정치적인 쇼’라고 폄하했다.

또 앨리사 파라 백악관 전략소통국장이 “(정상회의에서) 중국 문제를 논의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힌 것은 G7 확대 의도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더 많은 동맹국과 파트너를 끌어들이려는 것임을 보여준다고 그는 지적했다.

그는 그러면서 정상회의가 ‘G11’이나 ‘G12’가 된다고 해도 세계 2위 경제대국이자 최대 무역국, 최대 신흥시장인 중국의 참여 없이는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다른 나라들이 과연 미국에 동조할 것인가. 러시아는 분명 아닐 것”이라며 “한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도 그렇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과 호주가 미국 편에 서서 중국을 비판할 수도 있지만, 양국의 실질적인 대중 조치는 실현되지 않을 것”이라며 “어느 나라도 미국이 원하는 대로 중국을 공격할 의지를 갖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각국은 중국을 억누르기 위해 미국으로 완전히 기울지를 놓고 득실을 따져봐야 한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의 G7은 ‘구식’이라며 올해 미국이 주재하는 정상회의에 한국과 러시아, 인도, 호주를 초청하고 싶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1일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나는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에 기꺼이 응할 것”이라며 “방역과 경제 양면에서 한국이 할 수 있는 역할을 다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