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3일 공수처 도입 당론에 반대해 징계를 받은 금태섭 전 의원에 대해 “충돌하는 일이 잦으면 개인 소신과 정당이 맞지 않는 것이므로 무소속으로 활동하는 게 맞지 않나”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당론 결정에도 끝까지 나만 옳다는 식으로 주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강제당론이 지켜지지 않은 점에 대한 징계는 적정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토론 과정 없이 일방적으로 관철된 강제당론이었다고 한다면 적절하지 않은 징계였다고 볼 수 있다”면서도 “이 부분에 대해서 충분히 국회의원 개인의 여러 가지 생각이나 의견을 충분하게 토론을 거쳐서 결정이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만약 금 전 의원이 의원총회에서 아니면 이 당론이 결정되는 과정에서 본인의 발언을 할 수 없었다거나 아니면 본인이 주장하는 이야기를 하지 못했다고 하면 모르겠지만 의원총회 과정에서 굉장히 많은 이야기를 자유롭게 쏟아냈었다”고 금 전 의원에 대한 징계는 적정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금 전 의원의 공수처 반대 주장에 동료 의원들이 공감하지 못했고, 무엇보다 많은 국민이 이해를 못했다면서 “끝까지 내 주장만 옳다고 한 것은 타인의 주장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부족하지 않았나 싶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히려 저는 경선과정에서 접수할 때 그 과정에 논란이 있었을 때 금 전 의원을 만나서 소주 한 잔 하면서 허심탄회하게 이야기 듣고 싶은 그 마음이 강했다”며 “지금도 금 전 의원님이 기회를 준다고 하면 의정활동 4년 과정에서 금 전 의원님이 가지고 있었던 여러 가지 경험과 조언들을 듣고 싶은 마음이 있다”고 했다.
조국 백서 필진으로 참여한 김 의원은 21대 총선 당시 금 전 의원의 지역구에 도전 의사를 밝히면서 ‘금태섭 저격수’로 불렸다.
한편 금 전 의원은 지난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표결 당시 기권표를 던진 것을 이유로 ‘경고’ 징계를 받았다.
그는 2일 당의 징계에 대해 “정치의 영역에서 다른 의견에 대해, 설령 그것이 잘못된 것일지라도 정치적 책임을 지우는 것이 아니라 법적인 책임(징계)을 들이대게 되면 공론 형성의 과정이 사라진다”며 당 지도부를 비판했다.
금 의원은 “자신을 닮고 싶다”고 발언한 김남국 의원을 향해서는 “소신있는 정치인이 되겠다고 말한다고 해서 소신있는 정치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소신있는 정치인이 되려면 우리 사회에서 논쟁이 되는 이슈에 대해서 용기 있게 자기 생각을 밝히고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충고했다.
그러면서 “조국 사태, 윤미향 사태 등에 대해서 당 지도부는 함구령을 내리고 국회의원들은 국민들이 가장 관심 있는 문제에 대해서 한마디도 하지 않는다. 이게 과연 정상인가”라고 되물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