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차기 당대표에 도전하는 홍영표 의원이 2일 “대권 주자가 당권까지 가지려는 것은 당에 바람직하지 않다”며 이낙연 민주당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장을 향해 견제구를 던졌다. 당내에서 이 위원장의 당권 도전을 공개적으로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홍 의원은 JTBC 인터뷰에서 “대권 주자가 이번에 당대표가 되면 1년 사이에 전당대회를 세 번 해야 한다”며 이 위원장의 당대표 출마가 부적절하다는 뜻을 밝혔다. 오는 8월 전당대회에 이어 내년 5월에 새 대표를 뽑기 위한 전당대회, 8월에 대선후보를 선출하기 위한 전당대회가 열려야 한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당헌·당규에 당권과 대권을 분리하고 있다. 대선에 나갈 경우 1년 전에 당대표직을 사퇴해야 한다. 유력한 대권 주자인 이 위원장이 당대표가 될 경우 내년 3월까지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위원장이 당권을 잡을 경우 당으로서는 9개월 만에 다시 전당대회를 치러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최고위원 임기 보장을 위해 당헌·당규를 손질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그동안 당내에서는 이 위원장이 당권에 나서지 말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최고위원 임기 보장을 위한 당헌·당규 개정이 이 위원장을 위한 ‘1인 맞춤용 개정’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란 우려도 있었다.
홍 의원은 “전당대회가 항상 ‘컨벤션 효과(정치적 이벤트 후 지지율 상승 효과)’만 불러오는 것은 아니라 부작용도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최고위원 임기 문제를 언급하며 “당 일각에서는 당헌·당규를 개정하거나 유권해석을 받겠다고 하는데 이 문제는 굉장한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