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서 교회 소모임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하면서 방역 당국이 종교 모임 자제를 요청하고 나섰다. 교회의 정규 예배인 경우 방역관리자 지정, 마스크 착용 등 종교시설에 적용하는 방역 지침 준수 상황 점검이 가능하지만 일부 교인이 모이는 소모임까지는 정부 관리에 한계가 있어 자발적 협조가 가장 중요하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5월 이후 경기도, 인천, 서울, 경북지역에서 25개 교회의 모임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6건 발생해 누적 확진자가 103명에 이른다고 2일 밝혔다. 한국대학생선교회와 관련해선 서울 강남구 소재 예수제자교회 목사의 가족 1명이 접촉자 관리 중 추가돼 9명이 확진됐다. 경기도 군포‧안양 목회자 모임 관련 신규 확진자는 6명 늘어 총 15명이 감염됐다. 수도권 개척교회 관련 감염자는 22명 늘어 현재까지 23개 교회에서 총 45명이 확진됐다.
종교 소모임이 위험한 가장 큰 이유는 65세 이상 노인 등 고위험군이 감염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이태원 클럽, 쿠팡물류센터 감염은 젊은층이 대부분이어서 무증상, 경증이 많았지만 노인들도 참여하는 종교 소모임은 중증·위중 환자 발생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
방역 당국은 ‘3밀(밀폐·밀접·밀집)’이 이뤄지는 모든 종류의 소모임은 코로나19 전파가 쉽게 일어난다고 지적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브리핑에서 “좁은 방이나 사무실에 모이고 찬송하고 식사를 공용하며 이런 행위를 오랜 시간 반복하는 게 종교 소모임이 위험도가 높은 이유”라고 설명했다. 실제 인천·경기 개척교회 소모임에서 발생한 확진자 24명을 조사한 결과 73%에 달하는 참석자가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 소모임은 가족, 직장 등을 연결고리로 지역사회에 n차감염을 일으킬 우려도 높다. 권준욱 방대본 부본부장은 “종교시설 등을 중심으로 고위험집단인 어르신, 기저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점점 접근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방역 당국으로서는 위험도가 높아진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