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 유족들 “윤미향·정의연 30년간 대국민 사기”

입력 2020-06-01 15:28
양순임 사단법인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 회장(가운데)이 1일 인천시 강화군 선원면 한 식당에서 더불어민주당 윤미향 의원의 사퇴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제 강제징용·위안부 피해자 유가족 단체인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이하 유족회)가 정의기억연대(정의연)의 해체와 정의연 전 이사장인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의 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양순임 유족회 회장 등은 1일 오후 인천 강화군 선면원 알프스식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30년간 위안부 문제를 악용한 윤미향 의원은 즉각 사퇴하고 당초 목적에서 이탈하고 또 하나의 시민 권력이 된 정의기억연대는 즉각 해체하라”고 규탄했다.

양 회장은 “고(故) 김학순 할머니를 비롯한 세 분의 위안부 등 총 35명의 원고단이 일본으로 건너가 한일협정 이후 최초의 대일소송을 벌일 때만 해도 정대협은 존재하지 않았고, 윤미향은 소속단체도 없이 원고단에 끼고 싶어 했다”며 “그날 이후 윤미향 등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겠다며 정대협을 만들고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접근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족회의 끈질긴 요구로 ‘위안부 생활안정지원법’이 제정되어 위안부 피해자들을 위한 주거 해결책이 만들어졌고, 위안부 자진신고 기간이 설정되어 242명의 위안부 피해자가 등록됐다. 그러나 그 위안부 명단을 확보한 정대협이 유족회가 제안한 위안부 주거문제 해결도 정대협이 주도해 만든 것처럼 모든 공적을 가로채 갔다”고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 윤미향 당선인이 지난달 29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의기억연대 활동 당시 회계 부정 등 각종 의혹에 대한 입장을 밝힌 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앞서 곽상도 미래통합당 의원실이 지난 23일 여성가족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의연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생활과 복지를 직접 챙기겠다는 취지로 지난 2년간 여성가족부로부터 9억5000만원의 국고보조금을 받았다. 그러나 위안부 피해자 대부분이 열악한 환경에서 지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양 회장은 “정의연의 그동안 행태에 대해 이용수 할머니가 폭로한 내용은 전부 사실”이라면서 “할머니들을 앵벌이 시키면서 모금을 하고, 할머니들이 이용하지도 못할 시설에 거액을 투자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할머니들은 아무것도 누리지 못했다”고 항변했다.

그러면서 “(정의연이) 단체 존속을 위해 할머니가 필요했던 것이지 할머니를 위한 단체가 아니었음이 명명백백하게 드러났다”며 “(이번 사태를) 윤미향 개인의 비리 프레임으로 몰고 가는 건 잘못됐다. 각종 비리의 시궁창이 되고 있는 정의연이 존속돼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 수십년간 정의연과 윤미향은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한 피해자 중심의 단체가 아니라 권력 단체가 되어 단체를 살찌우는 데 혈안이 돼있었다”며 “정의연은 수십년 동안 할머니들의 눈과 귀를 가린 채 국민들을 상대로 사기를 친 단체에 불과하다는 것이 만천하에 드러난 이상 사법 처리에 앞서 먼저 해체되는 게 마땅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