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족 정책’에서 ‘인구문제’ 해답 찾는다

입력 2020-06-01 15:16
경북도가 인구문제 해결을 위해 1일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경상북도 인구정책위원회’를 열고 대책마련에 나섰다. 경북도 제공

“다문화가족 정책에서 새로운 인구정책을 찾아야 할 때 입니다”

올해 들어서만 1만5000여명의 인구가 줄어든 경북도가 인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일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경상북도 인구정책위원회’를 열고 대책마련에 나섰다.

‘경상북도 인구정책위원회’는 보육·아동, 학계, 언론, 종교계, 시민사회단체 등 각 분야 전문가 53명으로 구성돼 있고 이철우 지사와 김희정 변호사가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다.

회의는 2020년 경북 인구정책 추진방향 보고와 장흔성 경상북도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의 ‘인구정책과 다문화’라는 주제발표에 이어 위원별 정책제안과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저 출생 문제는 국가적인 문제이지만 경북도의 인구감소는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지난해 경북도 인구는 266만5836명으로 2018년 대비 1만995명이 감소했고 올해는 감소폭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통계청의 지난달 발표에 따르면 올 들어 경북도 인구는 이미 1만4782명이 감소했고 특히 청년유출, 고령화 문제까지 더해지고 있다. 지난 4월까지 노령인구의 순유입(213명)은 늘고 있는 반면 젊은 인구는 순유출(9909명)이 많으며 출생아(3592명) 보다 사망자(6131명)가 더 많아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다.

보육·아동, 학계, 언론, 종교계, 시민사회단체 등 각 분야 전문가 53명으로 구성된 ‘경상북도 인구정책위원회’ 위원들이 회의를 마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이에 따라 도는 인구감소와 인구구조변화에 대응하고 도민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해 일자리 창출, 문화·복지 등 정주여건 조성, 경북형 돌봄환경 구축, 일·가정 양립 문화 안착을 구체적 목표로 삼고 실질적 지원정책을 강화하기로 했다.

청년창업지원과 청년농부 육성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를 지원해 결혼·출산을 주저하게 만드는 일자리와 주거문제를 해소하기로 했다. 아이돌보미 이용 부모부담을 50% 경감시키고 마을돌봄터도 확대 조성해 돌봄 환경을 더욱 공공히 할 계획이다.
다음 달 개관을 앞둔 경북여성가족플라자를 거점으로 일-가정 양립, 양성평등문화를 확산해 나간다는 방침도 세웠다.

장흔성 경상북도다문화지원센터장은 경북의 다문화가정 출생아 비중이 높음을 환기시키며 “다문화가족 정책이 새로운 인구정책이 될 수 있으므로 외국인 유치, 지방거주 인센티브 지급과 적응 프로그램 도입 등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지사는 “인구 문제는 어렵고 힘든 문제이지만 도민 모두가 함께 고민하고 노력해 나가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모든 역량을 집중해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살고 싶은 경상북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