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주거 정책 효과? 자가 소유 61.2% ‘역대 최고’

입력 2020-06-01 15:39 수정 2020-06-01 15:40

자기 집을 가진 가구 비율(자가 보유율)이 61.2%로 나타났다. 2006년 조사 시작 후 가장 높은 수치다. 국토교통부가 1일 발표한 '2019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서다. 자기 집에 살고 있는 가구의 비율인 자가 점유율도 58.0%로 역대 최고치였다. 각각 지난해와 비교해 0.1%포인트, 0.3%포인트 올랐다. 1인당 평균 주거면적은 32.9㎡다. 2018년 31.7㎡보다 늘어 33㎡(10평)에 다가섰다.

다만 서울 등 수도권에선 자가 보유율이 떨어졌다. 수도권(54.2%)은 0.1%포인트 떨어졌다. 광역시(62.8%)도 0.2%포인트 하락했다. 도 지역(71.2%)이 0.9%포인트 올라 전체 자가 보유율 상승을 이끈 셈이다.

서울 등 수도권에서 전·월세 임차 부담은 상당했다. 전·월세 임차 가구는 월급의 5분의 1을 임대료로 부담했다. 지난해 18.6%에서 1.4%포인트 올랐다. 임차 가구의 월 소득에서 월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인 RIR(Rent Income Ratio) 수치 조사 결과다. 다만 도 지역이 전년 15.0%에서 12.7%로 눈에 띄게 떨어졌다.

수도권에서 내 집을 장만하려면 연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6.8년을 모아야 한다. 이는 조사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PIR:Price Income Ratio)는 전국에서 5.4배로, 2018년 5.5배보다 낮아졌다. 하지만 수도권 PIR은 6.8배로 도 지역(3.6배)와 큰 차이가 났다.


최저 주거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가구가 전체의 5.3%인 106만 가구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5.7% 111만 가구와 비교하면 0.4%포인트 낮아졌다. 지하·반지하·옥탑방 거주가구도 지난해 1.9%(37만6000가구)에서 1.3%(26만5000가구)로 줄었다.

이명섭 국토부 주택정책과장은 “자가점유율이 늘고 최저주거 기준 미달 가구 비중이 낮아졌다”며 “주거복지 정책 효과가 점차 가시화되며 전반적으로 국민의 주거 수준이 개선된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