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안동·고성 등 올 봄 대형산불 발생지역의 피해 복구를 위해 산림청이 총 700억원을 투입한다고 1일 밝혔다.
3월19일 발생한 울산 울주 산불은 피해면적이 519㏊로 25억원의 산림피해액이 발생했다. 경북 안동 산불은 4월24일 1944㏊에 달하는 산림을 태우고 209억원의 피해를 입혔으며, 지난달 1일 일어난 강원 고성산불은 123㏊면적에 24억원의 피해액을 기록했다.
산림청은 각 지역의 복구조림에 637억원, 사방댐 등 산림시설 조성 65억원 등 피해 복구에 총 703억원에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먼저 올해 안으로 진행되는 ‘응급복구’ 사업은 생활권 주변 산불 피해목이 부러지거나 뿌리째 쓰러지는 것 등을 방지하는 것이 목표다. 긴급벌채나 산사태 등을 방지하기 위한 돌망태·흙막이·사방댐 건설 등이 추진된다.
내년부터 2023년까지 3년 간 이어지는 ‘항구복구’는 민가 주변 내화수림대 조성, 산사태 발생 우려지·황폐계류지 대상 사방사업 등이 포함된다.
산림청은 피해 지자체인 울산시·경북도·강원도에 예산을 지원하는 한편 사방협회 및 국립산림과학원과의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최병암 산림청 차장은 “산불 피해목이 부러지거나, 뿌리째 쓰러질 우려가 있는 생활권 주변 피해지역을 우선적으로 벌채해 생활에 지장이 없도록 하겠다”며 “고속도로 주변 산림경관도 빠른 시일 내에 회복할 수 있도록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산림청은 산불 진화 이후 사방협회·자문위원 등 산사태 관련 전문가로 조사반을 구성, 가옥 및 공공시설과 인접한 2차 피해 우려지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토사유출·산사태 등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 중에서도 총 9곳의 조치가 시급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울주 6개소, 안동 2개소, 고성 1개소다.
산림청은 우기인 이달 말까지 해당 지역에 마대쌓기, 마대수로 만들기 등의 긴급조치를 실시할 계획이다.
특히 고성산불의 원인이 화목보일러로 추정되는 만큼 난방기 사용에 대한 사용지침과 매뉴얼을 배포할 예정이다.
또 화재를 저감할 수 있는 연통소재 등 화목보일러 품질관리 기준을 마련할 수 있도록 기술표준원 등과도 협의한다.
최병암 차장은 “이번 산불의 진화·조사 과정에서 초동진화, 또 유관기관 간 협력이 피해확산 예방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산불로 훼손된 산림 생태계가 피해를 입기 전의 모습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