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이 매주 수요일 정책세미나를 열고 정책정당으로서의 역할을 모색한다. 4·15 총선에서 3석을 얻는 데 그친 국민의당이 존재감을 부각시키며 생존하기 위한 전략이다. 첫 번째 정책세미나 초청 강사는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다. 진 전 교수는 ‘우리 시대의 정의란 무엇인가’를 주제로 강의할 예정이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1일 “학습하는 정당의 모습을 갖추기 위한 것”이라며 “국내 각계 대표와 교수를 강연자로 모시고, 주요 의원들과 중앙당 당직자들이 참여하는 이 세미나는 특별한 이슈별로 토론하고 발제하는 형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민의당은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이 제대로 다루지 못하는 정책 이슈를 파고들며 정책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국민의당은 정책세미나를 진행하면서 시민사회와 연대를 통해 범국민적 운동으로 발전시키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오는 3일 첫 세미나에는 당대표와 최고위원, 소속 국회의원, 중앙당 당직자, 보좌진 등 5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안철수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 윤미향 의원과 무소속 양정숙 의원 등을 겨냥해 “21대 국회에 윤리특별위원회가 구성되는 대로 민주당 스스로 (비리 의혹 의원들을) 즉시 제소해 국회 차원의 결자해지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안 대표는 “이들의 비리 의혹에 대한 민주당의 태도를 보면 이 정권 사람들은 정의와 공정, 법치에 대한 최소한의 가치와 기준이 있는 것인지 의심스럽다”고 했다.
안 대표는 “21대 국회에서는 윤리특위를 윤리위로 상설화시키고, 지난 국회처럼 여야 싸움에 찌그러져 있는 명목상의 허수아비 기구가 아니라 국회 최고의 윤리 자정 기구로서 기능과 권위를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회법을 개정해 윤리위는 국정감사 및 조사에 관한 법률, 국회에서의 증언감정 등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는 보다 강력한 청문회를 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태규 최고위원도 “이번 사건은 민주당이 결자해지해야 한다”며 “여기서 밀리면 진보 시민운동은 끝장이라며 옹호하지만, 그렇게 오기 부리다 몰락을 부른 과거 정권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