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 하천 ‘신천’ 친수공간 확보해 생태계 복원 필요

입력 2020-06-01 11:30
경기북부 경원축의 중심 하천인 신천의 수질오염을 개선해서 친수공간을 확보하고 하천생태계를 복원하자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신천 색도(물의 고유색) 개선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지난 3월 신천 유역에 접하고 있는 4개 시·군(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주민 500명을 대상으로 신천에 대한 설문조사(신뢰수준 95%, 표본오차 ±4.38%)를 실시했다고 1일 밝혔다.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에 걸쳐 38.8㎞에 달하는 신천은 1970년대 중·후반부터 시행된 서울시의 환경질 개선정책에 따라 강북지역의 피혁·섬유업체들은 상대적으로 환경규제가 약하고 지가가 저렴한 경기북부 지역으로 이전했다. 특히 하천주변으로 피혁·섬유업종 등 물 다소비 업종과 축사까지 모여들면서 신천 인근 주민들은 수질오염으로 인한 악취 등으로 고통을 겪고 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역주민의 58.6%가 환경오염물질 배출시설로 인한 가장 큰 환경피해는 수질오염이라고 답했고, 악취 발생(18.2%), 대기오염(16.6%)이 뒤를 이었다. 신천의 수질오염 정도에 대해서는 68.6%의 응답자가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민 44.4%는 신천을 거의 방문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신천 수질오염의 주요 원인으로는 공장으로부터의 산업폐수라고 응답한 주민이 65.4%, 축사를 비롯한 비점(非點)오염원 또한 23.4%로 높아 향후 신천의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축산농가의 관리 또한 중요할 것으로 판단됐다.

조사에 응답한 유역주민 56.4%는 신천의 색도를 인지하고 있으며, 신천 색도 개선을 위한 주된 목적으로는 친수공간 확보(53.0%)와 하천생태계 복원(44.0%)을 꼽았다. 신천의 색도 개선 정책으로는 폐수배출시설 단속 강화, 방지지설 설치 및 기술지원이 각각 34.4%를 차지했으며, 신천의 색도 개선을 위한 정책 추진 시 상·하류 지자체 간 협력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주민이 93.2%에 달했다.

조영무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신천 유역의 색도 개선을 위해 지금까지는 염색업종에서 발생되는 폐수 관리에 집중됐지만, 축산폐수를 비롯해 색도 유발업종의 배출시설과 환경기초시설의 방류수까지 관리가 필요하다”면서 배출시설에 대한 DB를 구축하고, 검증식 허가제를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현재 인·허가제도를 보완하여 서류검토 후 가허가를 먼저 발급한 후 방지시설 가동 시 이상 유무를 확인해 최종허가를 발급하자는 것이다.

이어 조 연구위원은 “신천 유역 하수처리장 중 신천하수종말처리시설과 동두천하수종말처리시설은 염색 및 축산폐수를 연계처리하고 있으나 색도 제거를 위한 고도산화 처리시설은 구비하고 있지 않다”면서 “하수종말처리시설의 처리 기능을 평가하고 이를 통한 시설개선을 통하여 방류수의 색도를 저감시키고 향후 염색 및 축산폐수는 폐수종말처리시설에서 처리 후 단독 방류될 수 있도록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