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항체 치료제 개발을 위한 동물실험에서 바이러스가 최대 100배 감소하고 폐 조직 병변이 눈에 띄게 개선되는 등의 효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의 국책과제를 수행해 온 셀트리온이 밝힌 내용이다. 국내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청신호가 켜졌다.
셀트리온은 지난 4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중화 항체 선별을 완료하고 세포주 개발에 돌입하면서 동시에 충북대와 함께 페럿(Ferret)을 대상으로 한 동물효능실험 첫 단계를 실시해 왔다.
페럿은 족제비의 일종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에 민감해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후보물질의 효능을 평가하는 데 적합한 동물모델로 평가받는다.
연구진들이 저농도, 고농도 두 투여그룹으로 나눈 개체를 대상으로 약물을 투입한 결과, 두그룹 모두 약물을 투입하지 않은 대조그룹 대비 콧물·기침, 활동성 관련 임상점수에서 약물 투여 후 1일째부터 정량화 수치가 확연히 개선된 것을 확인했다. 5일째에는 완전한 임상적 개선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콧물, 비강(콧속), 폐에서 RT-PCR(유전자 증폭 검사법)과 세포배양 기반 바이러스 역가 측정법으로 관찰했을 때 고농도 그룹은 바이러스가 최대 100배 이상 줄었다.
폐조직 검사에서도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감염 7일까지도 염증 소견이 지속 관찰되는 반면 약물을 투여한 저농도, 고농도 두 그룹 모두에서는 대조군 대비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염증이 크게 개선돼 정상에 가까운 폐조직 모양을 보였다.
셀트리온은 페럿에 이어 햄스터, 생쥐, 원숭이를 대상으로 효능성 및 독성 시험을 이어 나갈 예정이다. 또 이달 중 임상물질 대량생산에 돌입해 예정대로 7월내 인체 임상시험에 필요한 항체 치료제 물질 공급이 가능할 전망이고 밝혔다. 7월 말까지 인체 임상시험 돌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