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대전 시민참여 플랫폼 ‘대전시소’의 공론장에 1000명이 참여하면 시장이 직접 답변을 하게 된다.
대전시는 대전시소의 참여도 향상과 시민제안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6월부터 운영방식을 개선한다고 31일 밝혔다.
시는 우선 ‘시민제안·공론장·시장답변’이라는 기존의 과정을 개선, 시민 제안의 실행력을 높이고 시민참여예산과 적극 연계하기로 했다.
시민제안 진행단계를 제안·토론·결과 등으로 체계적으로 공개하는 한편 제안자에게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처리과정을 개별로 알린다.
또 10명 이상 공감을 받지 못한 시민제안이라도 우수제안 및 비슷한 제안이 여러 개 접수됐을 경우 부서답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당초 200명 이상 공감을 받은 시민제안에 대해서만 개설되던 공론장은 100명으로, 2000명 이상 공론장에 참여해야 가능했던 ‘시장의 직접 답변’도 1000명까지 기준이 낮아졌다.
공감 기준 수에 미치지 못해도 시의성이 있을 경우, 또 다수의 시민이 동일한 제안을 했을 경우 ‘토론의제선정단’ 회의를 거쳐 우수제안으로 채택해 공론장을 연다.
지난해 5월 개설된 대전시소는 1년 간 총 643건의 시민제안이 접수됐으며 이중 57개 제안이 검토됐다.
대전시소 출범 초기 시민제안은 ‘30(부서 답변)·300(공론장 개설)·3000(시장 답변)’ 방식으로 운영됐다. 그러나 경직된 운영탓에 많은 수의 시민제안이 공론장 개설로 이어지지 못했다.
때문에 지난 2월부터 ‘20(부서 답변)·200(공론장 개설)·2000(시장 답변)’으로 운영방식을 변경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어려워진 ‘찾아가는 대전시소’와 같은 오프라인 행사 및 대전시소의 낮은 참여율 등을 고려해 이번에 기준을 더욱 완화했다.
정해교 대전시 자치분권국장은 “시민의 생각과 참여가 정책의 결실을 맺고, 시민의 삶 속에 스며들어 일상을 바꿔낼 수 있다”며 “정책 수립에 가장 손쉽게 참여할 수 있는 대전시소를 통해 시민 소통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