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기억언대(정의연) 이사장을 지낸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이 단체와 본인을 둘러싼 회계 오류 논란을 전면 부인하면서도 국회의원 사퇴 요구 질문에 대해서는 확답을 피했다.
윤 당선인은 29일 서울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들과 피해 할머니들의 기대와 응원에 부합하지 못하고 깊은 상처와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하다”며 고개를 숙였다. 지난 7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윤 당선인이 과거 정의연을 부실하게 운용했다고 폭로한 뒤 그가 공개석상에 선 건 처음이다.
윤 당선인은 그간 제기된 여러 의혹을 일일이 언급하며 반박했다. ‘모금한 돈을 할머니들에게 쓰지 않는다’ ‘안성힐링센터 매입과 매각 과정에서 이익을 남겼다’ ‘2015년 한일정부 간 합의 후 할머니들에게 일본정부가 주는 위로금 수령을 막았다’ ‘남편의 신문사에 정의연 일감을 줘 부당한 이익을 챙겼다’ ‘정대협 돈을 횡령해 딸 유학비와 주택 매입 비용으로 댔다’는 등의 의혹들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검찰 조사 중인 사안”이라는 이유로 구체적인 증거 대신 두루뭉술한 해명만 덧붙였다.
다만 후원금 모금시 개인계좌를 사용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전체 할머니를 위한 것이 아닌 9개 사업의 경우 제 개인계좌 네 개로 모금을 했다”고 인정하며 “안이한 생각으로 행동한 점 죄송하다. 정산 과정에서 허술한 부분이 있었다. 스스로 부끄럽다”고 사과했다.
윤 당선인은 “(검찰 조사 결과) 잘못이 있다면 그에 상응하는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의정활동에 대한 강한 의지와 포부를 밝혔다. 그는 “(피해자 할머니들이) 한 분이라도 더 살아계실 때, 돌이킬 수 없는 방법으로 진실규명과 일본 정부의 책임 이행, 재발 방지를 위해 국민 여러분과 해외 각지에서 지지와 응원을 보내주신 여러분과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어 “제 의정활동에 얽힌 실타래를 풀어가는 노력과 함께 김복동 할머니와 김학순 할머니 등 여성인권운동가로 평화운동가로 나서셨던 할머니들의 그 뜻을 이룰 수 있도록 지난 30여년보다 더 열심히 노력하고 싶다”며 “전시 성폭력 재발 방지의 길도 모색하겠다”고 덧붙였다.
국회의원 사퇴를 고려하진 않느냐는 질문이 거듭됐으나 확답은 피했다. 윤 당선인은 “검찰 수사 과정에서 책임과 역할을 성실히 이행하겠다” “(국회의원) 직을 핑계로 피하지 않겠다”고만 에둘러 답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