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28일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초안을 통과시키자 주요 외신들은 일제히 긴급 뉴스로 보도했다. ‘거수기 의회’가 만장일치에 가까운 압도적인 찬성으로 보안법을 통과시켰다는 점과 향후 미국의 대중 보복조치가 홍콩에 미칠 영향에 주목했다.
AFP통신은 이날 보안법 통과 직후 “중국의 ‘거수기 의회’가 홍콩의 자치권을 파괴할 것이라고 비판받는 국가보안법을 부여하는 안을 승인했다”고 전했다.
로이터통신도 “지난해 수개월간 반정부 시위로 시끄러웠던 홍콩의 분리 독립과 체제 전복, 테러리즘, 외세 개입을 막는 법이 압도적 표차로 승인됐다”며 표결 결과가 화면에 나오자 박수가 터져나왔다고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AP통신은 “(중국과) 미국, 영국 간 관계를 껄끄럽게 만들었던 홍콩보안법이 통과됐다”고 표현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 의회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력 대응’ 위협을 무시하고 법안을 승인했다며 법안이 통과되면서 중국 정부가 지원하는 홍콩 행정부가 법을 공포할 때까지 중국 관료들은 수개월에 걸쳐 법안의 세부 사항을 분류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고 향후 과정을 설명했다.
외신들은 특히 홍콩보안법 통과가 가져올 파장에 주목했다. 영국 BBC방송은 서방식 체계를 갖추고 국제사회의 특혜 속에 중국과 서방을 잇는 창구 역할을 하는 홍콩의 독특한 지위가 끝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야기한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앞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중국의 특별지위 박탈을 언급한 것을 꼽으며 “미국의 선언은 홍콩의 교역 중심지로서의 지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중국 정부를 화나게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반자치 도시인 홍콩의 의회를 우회한 중국 정부의 이러한 행보가 홍콩 친민주주의 운동가와 야당 정치인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다며 이 법안으로 아시아 금융 중심지인 홍콩의 사법체제가 흔들리면 시위가 일어나고 결국 기업들이 탈출할 위험이 있다고 분석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