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현대중공업을 안전관리 불량사업장으로 지정해 특별관리한다고 28일 밝혔다.
고용부 관계자는 “연이은 사망사고 발생으로 지난 11일부터 열흘간 특별감독을 했지만, 감독 종료 다음 날 곧바로 사망사고가 발생한 현대중공업을 안전관리가 매우 불량하다고 보고 특별관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9월 이후 현대중공업에서 노동자가 작업 중 숨진 중대 재해가 5건이나 발생했다. 끼임사·추락사 등으로 4명의 노동자가 사망한 이후 부산고용노동청이 특별감독을 했는데, 감독이 끝난 바로 다음 날인 21일에 아르곤 가스 질식사 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감독을 제대로 하지 못한 정부도 책임에선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고용부는 현대중공업에 중대 재해 재발 방지를 위한 ‘전사적 차원의 근원대책’을 빨리 수립하라고 지시했다. 울산지청,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안전보건개선특별위원회’ 운영도 요구했다. 현대중공업을 전담하는 상설감독팀까지 구성해 7월까지 밀착 관리할 방침이다.
이재갑 고용부 장관은 현대중공업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나서 안전 대책 마련을 진두지휘할 것을 촉구했다. 이 장관은 “현대중공업과 같은 대기업에서 사망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는 것에 대해 심히 유감으로 생각한다”면서 “세계 일류 기업답게 노동자가 일터에서 사고로 사망하는 일이 더 발생하지 않도록 CEO가 나서서 실효성 있는 근원적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