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이 기관의 운영과 연구를 더욱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가고 있다.
전북도와 전북대는 익산시 월성동에 있는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를 국립감염병연구소 ‘분원’으로 전환하거나, 인근에 ‘본원’을 유치해 코로나19와 향후 전염병과 감염병 확산에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김동원 전북대 총장은 28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기능을 그대로 두되, 인근에 국립감염병연구소 ‘본원’을 유치하자고 전북도에 제안했다.
김 총장은 “정부가 감염병연구소 본원 설립을 검토하는 충북 오송지역은 주변에 민가가 있어 인체 감염 위험성이 내재해 있다”며 “반면 인수공통연구소가 있는 익산은 그렇지 않아 이러한 위험에서 자유로운 편”이라고 말했다. 김 총장은 이어 “(감염병 연구가 필요하다면) 우선 인수공통연구소에 분원을 두되, 향후 인근에 본원을 신축해 연구를 수행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그렇게 된다면 감염병 국가연구기관 유치와 인수공통연구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지난 25일 기자회견을 통해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국립감염병연구소 분원 전환 필요성을 발표했다.
송 지사는 “국가비상경제회의에서 국립 전염병연구소 설립 방향이 제시된 상황에서, 기존 시설(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을 분원으로 활용하면 감염병 연구·치료를 위한 예산, 인력, 장비 등에서 엄청난 투자가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두 기관장의 방안에 차이가 있지만 코로나19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그동안 예산 부족으로 연구에 어려움을 겪어 왔던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운영을 확대하고 적극 활용하자는 것에는 뜻이 모아지고 있다.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는 2015년 8월 국비 371억원 등 432억원이 투입돼 아시아에서 가장 큰 규모로 문을 열었다.
최대 5435두의 실험동물 사육이 가능하고 중·대동물 차폐실험실(BL3)을 갖췄다. 당시 개소식에 참석했던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연구소 출범을 계기로 대한민국이 인수공통전염병 분야의 세계적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정부는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을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나 시설과 장비만 갖췄지 정부의 외면으로 연구 인력도, 연구 예산도 턱없이 부족했다. 전북대부설연구소로 지정돼 있어 교육부 예산으로만 운영해 왔다.
2018∼19년 운영비는 12억, 15억원이었으나 코로나19가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올해엔 8억5000만원에 그쳤다. 이 예산으론 시설관리 외에 실제 연구를 하기에는 버거운 현실이다.
더불어 이곳의 정식 연구원(교수)은 3명뿐이고 보조연구원까지 합치면 30여명 수준이다. 개소 당시 100여명의 연구원이 확보돼 인수공통전염병 연구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기대했던 것과는 격차가 크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0일 ‘대통령 취임 3주년 특별연설’에서 “질병관리본부를 질병관리청으로 승격해 전문성과 독립성을 강화하고, 감염병 전문병원과 국립 감염병연구소 설립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