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서울대 등 75개 대학을 ‘고교교육 기여대학’으로 선정하고 예산 700억원을 지원한다. 이 대학들이 대입 전형을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해 고교 교육이 교육과정에 충실하게 운영되도록 기여했다는 이유다.
교육부는 28일 ‘2020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 사업은 ‘대입전형 공정성 강화’ ‘대입전형 단순화 및 정보공개 강화’ ‘사회적 배려대상자 및 지역균형 전형 운영’ 등을 평가하고 있다. 올해 책정된 예산은 697억8000만원이다. 교육부는 “대입 전형에 이해가 높은 고교, 대학, 교육청 관계자들이 선정위원으로 참여해 공정하게 평가했다”며 “이번 평가는 2020년 사업계획과 지난 4월 발표한 2022학년도 대입전형시행계획을 중심으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지원자격 제한이 없는 유형Ⅰ에선 67개 대학이 선정됐다. 수도권은 30곳이다. 가톨릭대, 강남대, 건국대, 경기대, 경인교대,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국민대, 단국대, 대진대, 동국대, 명지대, 상명대, 서강대, 서울과기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숭실대, 아주대, 연세대, 이화여대, 인천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등이다(이하 가나다순).
비수도권은 37곳이다. 강릉원주대, 강원대, 건국대(글로컬), 경북대, 경상대, 계명대, 공주대, 광주교대, 군산대, 대구교대, 대구대, 대구한의대, 동아대, 동의대, 부경대, 부산가톨릭대, 부산교대, 부산대, 선문대, 순천향대, 안동대, 영남대, 전남대, 전주대, 제주대, 조선대, 진주교대, 청주교대, 충남대, 충북대, 한국교원대, 한국교통대, 한남대, 한동대, 한림대, 한밭대, 호서대다.
유형Ⅰ 선정 대학 중에 가톨릭대, 경기대, 경상대, 동국대, 부산가톨릭대, 선문대, 한남대 한밭대 등 8곳은 ‘대입전형 투명성 강화 지원 대학’으로 지정돼 추가 예산을 받게 됐다.
지원사업 선정 실적이 없는 대학이 지원할 수 있는 유형 Ⅱ는 덕성여대, 차의과대, 한양대(에리카), 가톨릭관동대, 대구가톨릭대, 동국대(경주), 목포대, 창원대 등 8곳이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