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중 감염 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사람의 비율이 최근 2주간 7%를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미확인 확인자 5%가 생활속 거리두기(생활방역)의 기준이라는 점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로 되돌아가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28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13일 오전 0시부터 전날 같은 시간까지 신고된 확진자 303명 확진자 가운데 감염경로가 현재 확인되지 않아 조사가 진행 중인 경우는 23명으로 전체의 7.6%로 확인됐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한창이던 4월 22일∼5월 6일 2주간은 이 수치가 6.3%(확진자 112명 중 7명)였고, 이후 4월 29일∼5월 13일 4%(확진자 201명 중 8명)로 떨어졌다. 하지만 생활방역으로 전환된 지난 6~20일 2주간의 경우 감염경로가 확인 안된 진자 비율이 6.3%(304명 중 19명)로 다시 증가했다. 이번 주를 포함해 2주간 비율을 다시 계산하면 7%를 넘어섰다.
경로 미확인 확진자가 늘어난다는 것은 깜깜이 n차 감염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도 27일 정례 브리핑에서 “서울, 경기, 인천에서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미분류 사례가 증가하는 양상이고 이에 따라 지역감염의 위험도도 증가한 상황”이라며 “위험도를 판단해보고, 통제 가능한 범위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일부 유행지역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