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 고용보험’ 힘 보탠 박원순…민주노총 “감사하다”

입력 2020-05-27 17:10 수정 2020-05-27 17:15
박원순 서울시장이 27일 오후 서울시청 시장실에서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과 코로나19 고용위기 공동대응 간담회를 위해 만나 주먹인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박원순 서울시장이 ‘전 국민 고용보험’ 도입을 지속 주장해온 민주노총에 힘을 보탰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서울시를 ’노동 존중 특별시’라고 치켜세우며 화답했다. 두 사람이 집회 현장이 아닌 곳에서 별도의 면담을 가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박 시장은 27일 서울시청 시장실에서 김 위원장과 만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위기는 1997년 외환위기와는 달리 사회연대의 방식으로 풀어야 한다”며 “전 국민 고용보험 실시가 그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민주노총이 전 국민 고용보험을 먼저 제안해준 것을 환영한다”고 덧붙였다.

민주노총은 지난 20일 총리실 주재로 열린 ‘원포인트 노사정 대화’에서 해고금지와 전 국민 고용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경영계가 반대급부를 요구하면서 기대했던 성과를 끌어내진 못했다. 이렇듯 이해관계가 첨예한 상황에서 박 시장이 김 위원장을 만난 건 민주노총에 확실한 ‘우군’이 되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박 시장은 “K방역 일등공신은 전 국민 건강보험”이라며 “일자리 방역은 완전히 달랐다”고 비교했다. 그는 “예측할 수 없는 위험을 서로 나누는 것이 건강보험 존재 의의”라며 “전 국민 고용보험은 노조가 사회개혁의 주체로 나설 수 있는 절호의 기회”고 힘을 실었다.

전 국민 고용보험 도입의 명분으로는 ‘높은 실직률’을 꼽았다. 박 시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실직자의 82%가 ‘고용보험 미가입자’라는 국책연구기관의 보고서도 발표됐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박 시장이) 고용보험 입장을 밝혀 감사하다”고 전했다. 전 국민 고용보험 도입을 빠르게 추진하고 사회안전망을 확대하기 위해 서울시가 힘을 모아 달라고 당부했다. 김 위원장은 또 코로나19 고용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협력을 위한 ‘공동 노동 행정 시스템’을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김 위원장은 “지방정부가 노동 취약계층을 위한 긴급 예산을 투입할 때 기존의 복잡한 행정절차와 허가 조건을 향후 6개월 또는 1년 동안 특례 등으로 간소화해줄 것을 중앙정부에 제안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오주환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