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우울감을 뜻하는 ‘코로나 블루(Corona Blue)’가 자살 증가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부가 심리 방역에 나서기로 했다. 자살자가 발생한 교량에 동작감지기를 설치하고 일산화탄소 등 유해가스를 적게 배출하는 번개탄 보급을 추진하는 등 선제적 자살 예방 조치도 취할 방침이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차 자살예방정책위원회를 열어 ‘지역사회 자살예방 실천계획’ 등 안건을 논의했다. 정 총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경제적 어려움과 함께 고립감, 우울감, 스트레스 등 이른바 ‘코로나 블루’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며 “아직 코로나19 종식 시점을 예상하기 어려운 만큼 철저한 방역과 동시에 정신건강 위기 상황에 선제적이고 세심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충격이 극단적 선택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심리 방역 체계를 신속히 정비하기로 했다. 코로나19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소외계층에게는 경제적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고립감, 수입 감소 등 경제난으로 인한 신변 비관이 자칫 자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 환자, 자가격리자, 유가족, 의료진 등 코로나19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사람에게 심리적 지원을 제공한다. 자살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전화 상담과 안부문자 발송 등을 상시화하고 방문 서비스도 활용할 계획이다. 이와 별도로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지난 18일부터 심리지원반을 운영하며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대국민 심리 방역을 진행 중이다.
아울러 정부는 자살자가 발생한 교량에 동작감지기 등 긴급 구조 설비를 보강하고 고층건물에 옥상 자동개폐장치 등 안전시설물 설치를 추진할 계획이다. 유해가스 저감형 번개탄의 보급 방안도 마련키로 했다. 자살 시도 등 사건 발생 시 24시간, 365일 대응하는 권역별 응급개입팀을 올해 하반기부터 설치·운영키로 했다. 자살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주거지역에는 사회복지관, 주민자치센터 등과 연계해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