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가 외곽의 농촌 지역과 상생을 위해 조촌동에 건립하려던 제2청사 추진에 차질이 생겼다. 시의회 예결특위가 지난 26일 시에서 제출한 ‘제2 공공청사 이전사업 기본계획 수립 용역비’ 1억원을 전액 삭감했기 때문이다.
시의회 예결특위는 이날 일부 부서 이전만을 검토하지 말고, 사무·주차 공간 부족을 겪는 본 청사 전체를 포함하는 용역을 다시 추진하라고 주문했다. 앞서 사업 관련 상임위인 도시건설위는 전주시 원안을 가결했지만 예결위가 상임위 결정을 뒤집고 전액 삭감했다.
전주시는 당초 715억원을 들여 조촌동에 농업부서와 맑은물사업본부, 농업기술센터, 전주푸드, 전주농생명연구원 등 흩어져 있던 외부기관이 입주하는 제2 공동청사를 2022년 착공, 2024년 완공할 계획이었다.
시는 제2청사에 420여명이 상시 근무하면 유동인구도 많이 늘어나 농촌 지역 경제가 활성화할 수 있다는 기대했었다.
하지만 제2청사 건립은 항공대대의 도도동 이전으로 소음 등 고통을 호소하는 인근 주민들을 위한 피해 보상의 대안으로 추진됐다. 시는 초기 상업시설인 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을 꾀하다 무산되자 지난 2월 갑자기 제2청사 건립을 발표했다. 이에 행정 청사의 분산, 시민 접근성 불편, 시의회와 공감대 형성 부족 등 비판이 이어졌다.
시의회에서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이 무산되면서 공유재산관리 변경 등 이후 일정도 사실상 잠정 중단되게 됐다. 이에 제2청사 이전 여부를 도시계획 큰 틀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김남규 예결위원장은 “제2청사 추진 여부는 공무원 근무 환경, 민원인 접근성, 현 전주시청 인근 빌딩·종합경기장·도도동 일대 등 위치적 조건, 신청사 이전 여부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해 타당성을 따져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일부 부서만 이전하기 때문에 시청 청사 전체를 옮기는 계획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면서 “시의원들과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한 뒤 다음 추경에 다시 용역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