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북항재개발 2단계…부산시 등 공공주도 개발

입력 2020-05-27 15:30

부산시가 ‘부산의 100년 미래’를 열어갈 부산항 북항 재개발사업의 2단계 대표 시행사로 나선다. 사업비만 3조8000억원이 들어가는 대규모 사업인만큼, 부산시가 참여해 공공개발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27일 영상회의실에서 ‘부산항 북항 2단계 항만재개발 사업’을 위한 공동이행 협약을 체결하고 정부 주무관청인 해양수산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과 남기찬 부산항만공사 사장, 변창흠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 손병석 한국철도공사 사장, 김종원 부산도시공사 사장이 참석했다.

1876년 개항한 부산항 북항은 신항 건설로 항만물류 기능이 쇠퇴하면서 글로벌 신해양산업 중심지로 거듭나기 위한 통합개발이 진행 중이다.


북항 재개발 1단계 사업은 기반시설 준공을 앞두고 있지만, 정부 주도로 이뤄져 시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부산시는 북항 재개발 2단계 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해 시민의 힘으로 부산대개조의 핵심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부산항만공사(BPA),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철도공사(KORAIL), 부산도시공사(BMC) 등 4개 기관과 함께 ‘부산시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컨소시엄은 부산시를 대표사로, 공공주도 통합개발 공동시행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북항 2단계 재개발사업이 항만구역 재개발과 철도시설 재배치, 배후 사유지 재개발까지 포함한 통합개발사업인 만큼, 시는 4개 공공기관과 만든 협의안을 바탕으로, 시민이 중심이 되는 재개발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컨소시엄 대표사로서 정부 부처와의 협의, 인허가 등 행정업무 수행과 공공기반시설 지원, 엑스포 관련 협의 등을 맡아 사업을 이끌어 갈 예정이다. 부산항만공사와 한국토지주택공사, 부산도시공사는 항만기능 이전, 보상·공사·분양 등의 사업 관련 업무를 맡고 한국철도공사는 철도시설 재배치 관련 업무를 맡는다.


시가 이날 해양수산부에 제출하는 사업계획서에는 북항 재개발과 원도심을 연계해 사업의 개발이익을 원도심에 환원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초량 수직축 도로’와 ‘수정 수직축 도로’를 사업구역에 추가했다. 또 2030부산월드엑스포 개최를 고려해 자성대부두 일원을 영구시설물 존치부지로 정한다. 물양장 해수 공간을 워터프런트로 만들고, 부산역 조차장 일부는 존치하고, 나머지 터는 철도광장으로 조성하는 계획을 만들었다.

시는 해수부와 의논해 사업계획서를 구체화한 뒤 기초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시민, 지역상공계, 학계, 언론계, 시민단체 의견을 수렴해 사업 실시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