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도 줄줄이 反윤미향…“특권뒤 숨지말고 소명하라”

입력 2020-05-27 14:18
윤미향 국회의원 당선인(당시 정대협 상임대표)이 2016년 6월 8일 서울 종로구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234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에서 길원옥 할머니와 스마트폰을 보고 있다. 뉴시스

정의기억연대(정의연)의 부실회계·기부금 횡령 의혹이 일파만파로 번진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윤미향 국회의원 당선인을 향한 시민사회의 성토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각종 의혹을 직접 소명하고, 잘못한 일은 마땅히 책임지라는 주문이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7일 성명을 내고 “윤미향 당선인은 쏟아지는 의혹을 떳떳하게 소명하고 잘못이 있다면 책임져야 한다”고 밝혔다.

경실련은 “지난 7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 이후 윤 당선인이 제기된 비리와 의혹들을 적극적이고 명쾌하게 해명하지 않아 정의기억연대의 정체성과 운동의 정당성을 훼손했다”며 “운동을 자발적으로 지지하고 후원했던 국민이 자괴감마저 느끼고 있고, 시민사회단체들의 도덕성과 공신력도 폄훼 받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국민은 윤 당선인에게 민간단체 운영의 개방성·투명성·책임성을 요구하지만, 제기된 의혹을 친일 프레임이나 진영 논리에 기대 회피하면서 불신을 키우고, 갈수록 의혹을 증폭시켜왔다는 비판인 것이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왼쪽 사진) 할머니와 윤미향 국회의원 당선인.연합뉴스

경실련은 그러면서 “21대 국회 개원 후 의원 신분을 가지면서 특권의 뒤에 숨으려는 마음이 있다면 버려야 한다. 국회의원 신분을 유지할지라도 이미 국민의 대표로서의 정당성을 상실한 윤 당선인이 위안부 문제 해결 과정에 기여할 자리도 없을 것”이라고 일갈했다.

앞서 지난 26일 김경율 시민단체 경제민주주의21의 대표도 윤 당선인과 정의연 임원진이 회계 부정 의혹 등에 책임을 지고 총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여연대 공동집행위원장을 지낸 김경율 대표는 그간 윤 당선인을 집중적으로 비판해왔다.

시민단체 흥사단도 전날 “윤 당선인과 정의연에 잘못이 있다면 그에 맞는 합당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한편 윤 당선인은 오는 30일 국회의원 공식 임기가 시작되면 불체포특권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검찰이 소환 조사를 요구할 경우 의정활동 등을 이유로 거절해도 마땅한 방법이 없게 된다. 헌법 44조에 규정된 국회의원 불체포특권은 행정부에 의한 부당한 체포나 구금으로부터 자유로운 국회 기능을 보장하는 게 목적이지만, 자칫 면죄부가 될 우려가 높은 상황인 것이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