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년 만에 경주 신라 고분에서 금동 신발 출토

입력 2020-05-27 11:03
경북 경주시 황남동 120-2호분에서 발견된 금동 신발 모습. 경주시 제공

경북 경주의 신라 고분에서 금동 신발이 출토됐다.

1977년 경주 인왕동 고분군에 이어 43년 만이다.

27일 문화재청과 경주시에 따르면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의 하나로 추진 중인 ‘경주 황남동 120호분’ 조사에서 금동 신발과 허리띠 장식용 은판, 각종 말갖춤 장식 등 유물이 출토됐다.

아직 발굴조사 초기 단계이지만, 금동 신발 등 출토 유물의 중요성을 고려해 이날 발굴 현장을 공개한다.

경주 대릉원 일원에 위치한 황남동 120호분은 일제강점기에 번호가 부여됐으나 민가 조성 등으로 훼손되면서 고분의 존재조차 확인할 수 없는 상태였다.

이에 문화재청과 경주시는 2018년 5월부터 120호분의 잔존 유무와 범위 등을 파악해 발굴조사를 시작했다.

지난해 120호분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120-1호분과 120-2호분을 추가로 확인했다.

120호분 봉분은 마사토를 사용해 북서-남동 26.1m, 북동-남서 23.6m 규모로 축조한 것으로 밝혀졌다.

경주의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곽묘) 가운데 마사토로 봉분을 축조한 사례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경북 경주시 황남동 120호분과 그 주변의 유구 분포 현황. 사진의 파란색-삼국시대, 녹색-통일신라시대, 노란색-고려근대. 경주시 제공

120-1호분과 120-2호분은 120호분의 봉분 일부를 파내고 조성돼 있어 120호분보다 후대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120-1호분에서는 쇠솥과 유리구슬, 토기류가 출토됐다.

120-2호분의 매장주체부에서는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고 있다.

지난 15일에는 20-2호분에 묻힌 피장자 발치에서 금동 신발 한 쌍을 확인했다.

신발은 표면에 ‘T’자 모양의 무늬가 뚫려 있고, 둥근 모양의 금동 달개가 달려 있다.

경주 황남대총 남분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금동 신발이 출토된 적이 있으며, 경주의 신라 고분에서 신발이 출토된 것은 1977년 경주 인왕동 고분군 조사 이후 이번이 43년 만이다.

지금까지 신라 무덤에서 출토된 신발은 실생활에 사용하던 것이 아니라 죽은 이를 장사 지내어 보내는 의례를 위해 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북 경주시 황남동 120-2호분에서 출토된 금동 말갖춤 장식 일괄. 경주시 제공

또 피장자의 다리 부분에서는 허리띠 장식에 사용된 은판이, 머리 부분에서는 여러 점의 금동 달개가 겉으로 드러나 있는 것도 확인했다.

부장칸에서는 금동 말안장과 금동 말띠꾸미개를 비롯한 각종 말갖춤 장식, 청동 다리미, 쇠솥, 다양한 토기류 등이 출토됐다.

발굴조사단 관계자는 “앞으로 120-1‧2호분의 조사를 완료한 후 아직 내부 조사가 이뤄지지 않은 120호분의 매장주체부도 본격적으로 발굴할 예정”이라며 “120호분은 120-1‧2호분에 비해 봉분의 규모가 훨씬 크기 때문에 현재까지 출토된 유물보다 위계가 더 높은 유물이 출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경주=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