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리 하자” “인해전술”…여야 원내사령탑의 신경전

입력 2020-05-26 17:30

여야 원내대표가 26일 21대 국회 전반기 원구성 협상에 본격 돌입했다. 이들은 법정 시한 내 21대 국회 개원과 6월 5일 첫 본회의 개최를 위해 노력하기로 했지만, 동시에 주도권을 잡기 위해 미묘한 신경전도 벌였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는 이날 통합당 원내대표실에서 회동을 갖고 원구성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김영진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와 김성원 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는 1시간20여분 간 이어진 회동이 끝난 뒤 공동 브리핑에서 여야가 ‘일하는 국회’를 만드는 방향에 뜻을 함께하고, 국회법에 명시된 개원 날짜를 맞추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회법에 따르면 국회의장단은 6월 5일까지, 상임위원장은 6월 8일까지 선출해야 한다.

또 오는 28일 청와대에서 열리는 문재인 대통령과 양당 원내대표 오찬 회동에서 개원과 관련해 추가로 논의하고, 원내수석부대표들도 지속적으로 만나 의견을 교환하기로 했다.

다만 여야는 주요 위원장 배분을 놓고서는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김영진 원내수석부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여당은 법사위와 예결위를 챙기는 게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고, 통합당도 야당으로서 견제 기능을 위해 법사위와 예결위가 필요하다고 했다”고 전했다. 김성원 원내수석부대표는 “개별 상임위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았다. 상임위 숫자는 11개 대 7개로 나와 있는 것이니까”라고 말했다.

양당 원내사령탑은 협상 주도권을 잡기 위해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김 원내대표는 회동 인사말에서 “지금까지의 잘못된 관행, 예를 들면 개원 협상을 지난하게 한다든지 하는 일은 더이상 없어져야 하지 않을까”라며 “정해진 날짜에 정해진 회의가 시작되고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결정의 속도를 빨리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자 주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180석이 되니 인해전술로 압박하는 것이 아닌가”라며 “일하는 국회 좋다. 그런데 국회는 기본적으로 헌법상 삼권 분립에 따라 행정부를 감시하는 역할인데, 일에 치중하다 보면 제대로 된 일을 못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받아쳤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