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이후 중소기업의 4.3%가 평균 10명의 인력을 감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중소기업 매출이 큰 타격을 입으면서 인건비 등 운영자금 부족을 느낀 중소기업들이 인력을 줄인 것이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 대부분은 올해 채용계획도 없다고 밝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20일부터 22일까지 300개 중소기업(제조업 135개, 비제조업 165개)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관련 중소기업 인력수급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중소기업의 15.3%는 ‘코로나19로 인한 일감축소’(95.7%) 탓에 고용인력이 과다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감이 줄어든 것에 비해 고용된 인력이 많다는 것이다.
물론 중소기업의 상당수(77.0%)는 현재 고용인력이 ‘보통’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고용인력이 과다하다고 생각하는 중소기업 중 약 30%는 코로나19 이후 현재까지 평균 10.2명을 감축했다. 제조업은 평균 20.3명을, 비제조업은 평균 7.2명을 각각 감축했다. 운용자금이 부족(61.5%)해서, 경기악화가 예상됨에 따른 선제적 대응(26.9%)이 인력을 감축했거나 앞으로 감축할 이유로 꼽혔다.
중소기업의 전반적 상황이 좋지 못한 탓에 인력이 ‘보통’이거나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업체들조차도 올해는 18.5%만 고용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이는 조사에 응한 전체 중소기업의 15.7% 수준에 불과한 수치다. 그마저도 업체당 평균 3.3명을 고용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전체 기업의 84.3%는 채용계획이 없었다.
중소기업들은 고용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선 ‘고용시 보조금지원’(70.3%)을 가장 필요한 지원책으로 언급했다. 이어 ‘중소기업 직원에 대한 우대지원책 확대 및 사회적 인식개선책’(57.0%), ‘최저임금 인상 억제 및 업종·규모 등에 따른 차등적용’(51.7%), ‘주52시간 보완입법 마련 등 근로시간 유연화’(41.0%) 순으로 나타났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상황 악화로 대다수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이미 인력을 감축했거나 앞으로 감축해야 하는 등 인력운용이 어느 때보다도 좋지 않은 상황”이라며 “정부의 고용유지지원금 확대와 같은 고용유지 지원정책과 주 52시간제 보완 입법마련, 최근 경제상황 및 기업의 지불능력을 감안한 최저임금 결정 등 합리적 제도개선을 통해 실효성 있는 고용 및 일자리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