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착] “위안부 팔아먹었다” 울분 토한 이용수 할머니

입력 2020-05-25 17:09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25일 오후 대구 수성구 만촌동 인터불고 호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용수 할머니는 울분을 토했다.

이 할머니는 25일 오후 2시40분쯤 대구 수성구 인터불고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당초 계획된 시간은 2시였지만, 취재 인파가 몰려 기자회견 장소가 변경된 탓에 시작이 지연됐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25일 오후 대구 수성구 만촌동 인터불고 호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휠체어를 타고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휠체어를 타고 도착한 이 할머니는 아픈 과거를 회상하면서는 울먹였고,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당선인과 정의기억연대의 전신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를 향해서는 분노했다.

이 할머니는 정대협의 ‘과대 대표’ 문제를 지적했다. 강제로 노동력을 착취당한 정신대와 성을 착취당한 위안부는 다른데, 정대협이 위안부 피해자를 끌어들여 이용했다는 것이다. 특히 이 할머니는 이유도 모른 채 윤 당선인이 모금을 진행했다는 얘기를 꺼내며 분노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2) 할머니가 25일 오후 대구 수성구 만촌동 인터불고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하기에 앞서 지난 1차 회견 때 발언한 내용을 정리한 문건을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이 할머니는 “1992년 6월 25일 (위안부 피해를) 신고할 적에 윤미향 간사가 모임 있다고 해서 어느 교회에 갔다. 그날따라 일본 어느 선생님이 정년퇴직 후 1000엔을 줬다며 100만원씩 나눠 주더라. 그게 무슨 돈인지 몰랐고 그때부터 (정대협이) 모금하는 걸 봤다. 왜 모금하는지 몰랐다”고 말했다.

그는 “30년을 이유도 모른 채 끌려다녔다”면서 “왜 모금을 하는지도 몰랐다. 30년 동안 ‘사죄해라’ ‘배상해라’ 이야기하면서 모금을 하러 다녔다. 학생들 돼지저금통도 털어 (모금을) 받았다. 그게 당연한 건 줄만 알았다. 30년을 쭉 그렇게 했다”고 말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25일 오후 대구 수성구 만촌동 인터불고 호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하던 중 눈물을 흘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 할머니는 이어 “위안부랑 정신대가 어떻게 같나. 정대협이 정신대 대책만 하지, 무슨 권리로 위안부 피해자를 만두에 고명으로 사용하나”라며 “정대협은 위안부 문제에 해당하지도 않았는데 뭣 하러 일본이 사죄하고 배상하겠나. 정대협은 위안부 할머니들을 팔아먹었다. 내가 왜 팔려야 하냐”며 울분을 토했다.

정대협의 ‘피해자 중심주의’도 도마에 올랐다. 이 할머니는 일본군이 자신을 성폭행한 아픈 기억을 고통스럽게 털어놓으며 “정대협은 이걸 밝혀줘야 했다. 하지만 할머니를 앉혀서 증언 한번 받은 적 없다”며 “그냥 모여 놓는데, 밥 먹는데 ‘어디 갔다 왔습니까’ 그걸 가지고 체크했다”고 밝혔다. 정대협이 깊이 있게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을 받은 적이 없다는 취지로 보인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25일 오후 대구 수성구 만촌동 인터불고 호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기침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이 할머니는 최근 윤 당선인의 용서를 받아들였다는 보도에도 불쾌감을 드러냈다. 이 할머니는 “어느 날 저녁 문을 열어달라고 해서 열어주니까 윤 당선인이 싹 들어오더라. 너무 놀라서 넘어갈 뻔했다. 윤 당선인이 무릎 꿇고 용서를 구하더라”라며 “뭐를 용서하나. 뭘 가져와야 용서하지. ‘(의혹들을) 보니까 엄청나더구나 그것은 검찰에서 다 할 것이고 내가 며칠 후에 기자회견 할 테니 그때 오라’고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리고 밖에 나갔는데 교수를 포함해 여러 사람이 있더라. 뻔뻔스럽기 짝이 없었다”며 “윤 당선인이 ‘한 번 안아달라’고 말해서 ‘이게 마지막이다’라는 생각을 하고 안아줬다. 30년을 같이 했으니 원수는 아닌데 마지막이라는 생각을 하니까 눈물이 왈칵 났을 뿐 그걸 가지고 용서했다는 기사는 너무 황당하다”는 취지로 말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25일 오후 대구 수성구 만촌동 인터불고 호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입장을 밝히고 있다. 뉴시스

이 할머니는 이어 “이 사람은 자기 맘대로 한다. 30년 같이 했는데 한마디 말도 없이 맘대로 팽개쳤다. 자기가 사리사욕 차려서 맘대로 또 국회의원 비례대표를 나갔다”며 “속이고, 이용하고,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저 사람(윤 당선인)이 받아먹었다. 이런 것도 모르고 무슨 용서를 바라나”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세계 각지에서 사람들이 데모(수요집회)에 나온다. 그분들이 다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할머니는 검찰 수사를 촉구하기도 했다. 이 할머니는 “병 주고 약 주는 것도 죄인데 아직 (본인들이 저지른) 죄를 모른다. 그건 다 검찰에서 밝힐 것이다. 정의연이 위안부를 가지고 했던 일은 도저히 용서 못 한다. 이 또한 벌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준규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