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기억연대(정의연)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지난주 압수수색이 종료된 이튿날 곧바로 회계담당직원에 소환을 통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부실한 회계공시와 기부금 전용·유용 등 확인해야 할 의혹이 광범위하게 제기된 만큼 검찰이 수사에 속도를 올리는 모양새다.
25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서부지검 형사4부(부장검사 최지석)는 지난 22일 정의연 회계담당 직원 A씨에게 소환을 통보했다. 20~21일 이틀에 걸쳐 정의연·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의연 전신) 사무실과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쉼터인 ‘평화의 우리집’까지 압수수색한지 하루만에 이뤄진 소환통보다. 검찰과 정의연 측은 구체적인 검찰 출석 날짜를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의연을 대리하는 변호인 측은 “아직 구체적으로 날짜는 잡히지 않았다. 조만간 결정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압수수색이 끝나자마자 시작된 소환통보는 검찰이 이번 사건에서 광범위하게 제기된 각종 의혹들을 최대한 신속하게 수사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사회적기업 마리몬드가 2013~2019년 기부한 6억5000만원 중 5억4000여만원이 공시에서 누락된 것을 비롯해 총 37억원이 넘는 기부금이 공시에서 빠져있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정의연 측은 인력부족, 관행 등으로 인한 단순 회계오류라고 해명하고 있지만 해당 기부금이 구체적으로 어떤 사업에 얼마나 쓰였는지 제대로 밝히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이 회계담당직원을 첫 소환대상으로 삼은 이유도 단순 실수로 인한 누락분과 사용처를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을 수사 초반부터 분류해 내기 위한 작업을 위해서라고 풀이된다. 결국 사용처를 설명하지 못하는 기부금이 전용·유용된 정황이 있는지 살피는 조사의 기초 단계인 셈이다.
뿐만 아니라 정의연이 그동안 진행한 사업의 구체적 지출내역 등도 검찰이 회계담당자 조사를 통해서 1차적으로 확인해야 할 부분이다. 2018년 후원의 밤 행사를 진행하며 한 맥줏집에서 3300만원을 지출한 점과 각 사업으로 인한 수혜자 수가 ‘99’ ‘999’ 등 임의로 작성된 부분, 제대로 활용되지도 못한 채 매각된 경기도 안성 쉼터 조성 경위와 운영상황 등도 의혹으로 제기된 상황이다.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당선인(전 정의연 이사장)이 4개의 개인계좌로 모금을 진행한 의혹도 있다. 검찰은 윤 당선인 계좌추적 등을 통해 기부금의 최종 사용처를 확인하는 조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현수 최지웅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