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복지·관광·산업 분야 유관기관 6개를 신설한다. 광주시는 “올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시설공단과 경제자유구역청, 사회서비스원, 관광재단, 에너지산업진흥원, 상생일자리재단을 잇따라 설립한다”고 25일 밝혔다.
시 산하 공사·공단은 도시공사 등 4개로 시설공단이 내년에 문을 열면 5개로 늘어난다. 출자·출연 기관은 문화재단 등 17개에서 21개가 된다. 나머지 경제자유구역청은 출장소 형태로 운영된다. 빛고을노인건강타운 등을 위탁 운영할 사회서비스원과 관광재단이 7월 중 먼저 출범한다. 에너지산업진흥원은 8월 설립 타당성 용역, 10월 행정안전부 협의와 조례제정 등을 거쳐 내년 3월 설립한다. 시설공단과 상생일자리재단, 경제자유구역청도 관련절차를 밟아 내년 상반기 신설된다.
광주시는 이에 따라 기능이 유사한 출자·출연 기관의 조직·업무를 재편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사회서비스원으로 시설운영을 넘기는 기존 복지재단은 당분간 연구기능을 맡길 방침이다. 관광객과 컨벤션 유치 등 도시마케팅 기능을 전담해온 광주컨벤션뷰로는 관광재단에 흡수하고 그동안 광주도시공사와 시체육회로 분할됐던 각종 체육시설과 영락공원 등의 운영권은 시설공단으로 넘긴다. 광주경제자유구역은 현재 예비 지정된 상태로 출장소를 거쳐 자유구역 확정과 함께 유관기관 설립이 이어질 예정이다. 상생일자리재단은 ‘광주형 일자리’ 실현과 광주글로벌모터스에 대한 노동계의 복귀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설립이 결정됐다. 시는 이와 관련, 상생일자리보좌관(4급 상당)에 지난 22일자로 언론인 출신 김중태씨를 임명하는 등 재단 운영절차에 돌입했다.
하지만 6개 기관의 잇단 설립을 앞두고 유사한 기능수행과 업무중복에 따른 예산낭비가 우려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기관장 인선과 직원채용 등을 놓고 사전내정에 따른 ‘위인설관’과 전문성이 결여된 ‘정실인사’가 재현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광주시는 각 기관 설립 취지를 살리기 위해 철저한 조직진단과 객관적 평가를 거쳐 업무를 재편하고 전문성과 리더십, 방향성 3대 원칙을 반영한 절제된 인사권을 행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지방채 발행을 최소화해 재정건전성 악화를 막고 측근·보은 인사는 향후 자제할 것이라는 입장을 덧붙였다. 김이강 대변인은 “사회서비스원 등은 정부 차원에서 전국 공통으로 추진하는 것”이라며 “공사·공단과 출자·출연기관 운영이 방만하게 이뤄지지 않도록 조직·업무의 선택과 집중을 게을리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