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일은 6월, 중·러는 7월… 정상외교 재개되나

입력 2020-05-25 00:35
지난해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공식환영식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반갑게 악수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다음 달 미국 워싱턴에서 열릴 예정인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할 의향을 밝혔다고 일본 언론이 24일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면대면 회의 방침을 시사한 이후 일본이 가장 먼저 호응하고 나섰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미국이 6월 개최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G7 정상회의에 아베 총리가 직접 참석하겠다는 뜻을 미국 측에 전달했다. 신문은 “아베 총리의 방미가 성사되면 지난 1월 중동 3개국 순방 이후 5개월 만의 외국 방문”이라며 “미·일 정상회담도 고려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올해 G7 의장국인 미국은 당초 6월 10~12일로 예정된 정상회의를 화상 회의로 열 방침이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트위터를 통해 일정 변경을 시사했다.

그는 “우리는 위대한 나라로 다시 전환하고 있다”며 “같은 날짜 또는 비슷한 날짜에 워싱턴의 전설적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G7 일정을 재조정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미측으로부터 이같은 방침을 전달받고 아베 총리의 참석 여부를 검토해왔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미국 정부의 코로나19 확산 방지책을 검토한 뒤 참석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CNN은 최근 백악관 관리 등을 인용해 한 달 안에 오프라인 정상회의를 준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코로나19로 얼어붙은 세계 경제가 정상화되고 있다는 신호를 전 세계에 보내고 싶어한다고 분석했다.

코로나19 부실 대응에 따른 지지율 추락과 측근인 구로카와 히로무 도쿄고검 검사장의 도박 스캔들로 정치적 위기에 몰린 아베 총리 입장에서도 미·일 정상회담은 비난 여론을 분산시킬 수 있는 이벤트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3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전국위원회 연석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신화통신연합뉴스

오는 7월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회담 가능성이 거론된다. 러시아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개최하는 브릭스(BRICs·신흥경제5개국) 정상회의와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시 주석이 참석할 가능성이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최근 보도했다. 시 주석이 7월 러시아를 방문한다면 이는 코로나 팬데믹 사태 이후 시 주석의 첫 해외 방문이 된다.

러시아는 두 행사를 모두 푸틴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는 대면 회의로 개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푸틴 대통령이 오는 9월 중국을 방문하는 방안도 양국 사이에서 논의되고 있다. 미국이 코로나19 책임론을 비롯해 전방위적인 대중 압박을 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러가 밀착하는 모습이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