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연 해명에도 진실공방 여전… 25일 이용수 할머니 기자회견

입력 2020-05-24 17:19
검찰이 서울 마포구 정의기억연대(정의연) 사무실에 대해 압수수색에 들어간 지난 20일 오후 정의연 간판이 보이고 있다.


연일 쏟아지는 의혹에 정의기억연대가 주말임에도 적극 해명에 나섰다.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당선인(전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은 25일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에 참석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정의연은 23일 오후 자료를 내고 최근 제기된 여성가족부 지원금 부실집행 의혹을 반박했다. 사업비를 목적대로 집행했고 매주 서면으로 보고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할머니들의 임대주택 문제는 사업 목표와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앞서 일각에서는 정의연이 지난 2년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의료·주거개선 등 명목으로 여가부로부터 10억여원을 받았는데도 일부 할머니가 임대주택에서 생활하고 있다며 부실집행 의혹이 제기됐었다.

건립이 무산된 우간다 ‘김복동 센터’, 지난 20일 발표된 ‘초기 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선배들의 입장문’ 관련 논란도 적극적으로 해명했다. 일부 매체는 김복동 센터 추진 당시 현지 주관 단체로 알려졌던 ‘골든위민비전인우간다’(GWVU) 측이 모금 사실을 몰랐으며 부지 역시 해당 단체가 매입했다는 취지로 보도했다. 이에 정의연은 추진 초기부터 GWVU와 협력했다며 부지 매입비 1200만원을 송금했다고 밝혔다.

정의연은 또 정대협 원로 입장문에 대해 몰랐다는 윤정옥 이화여대 명예교수(정대협 초대 공동대표)의 발언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정의연은 “대표로 작성한 선배들이 다른 선배들께 한 줄 한 줄 읽어드리고 동의를 받은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표면적으로는 당사자들의 입장과 정의연의 해명이 맞서는 상황인 만큼 진실공방은 쉽게 잦아들지 않을 전망이다. 정의연은 김복동 센터 관련 영수증 등 증빙서류가 있으나 피해자 보호를 위해 보도 목적으로 공개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해외상영료 모금 관련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정의연이 영화 ‘김복동’의 지난해 9~10월 해외 순회 상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배급사와 사전 협의 없이 해외 상영료 1300만원을 모금했다가 뒤늦게 상영료가 면제됐다며 모금액을 다른 예산으로 쓰겠다고 했다는 것이다. 정의연 관계자는 24일 “배급사와의 소통 문제였다”면서도 “상영 장소 대관료 등을 포괄한 모금 항목이었으며 현재 관련 비용을 정산하는 중”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윤 당선인은 대구에서 열릴 예정인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에 불참할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관계자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윤 당선인이) 아무래도 참석하지 않을 것 같다”며 “만약 그 자리에 서게 된다면 할머니 말씀과 배치되는 답변을 해야 할 수도 있는데 모양이 조금 사나워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언론의 거듭된 연락에 응하지 않았고 기자회견 참석 여부에 관한 입장도 내놓지 않았다.

민주당은 사실 관계가 밝혀질 때까지 지켜보겠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할머니의 기자회견 내용은 물론 정의연에 대한 검찰 수사 결과까지 일단 두고 보겠다는 것이다. 민주당 의원들 사이에서는 검찰 수사 전 당 차원의 진상 조사 등을 통해 윤 당선인에 대한 입장을 먼저 정리했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중진 의원은 “당이 진상조사위원회를 만들어 본인의 이야기도 들어보고 서둘렀어야 했는데, 이제는 검찰 조사를 기다리는 수밖에 없게 됐다”고 말했다.

송경모 이현우 기자, 대구=황윤태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