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4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서 한국으로 돌아온 재외국민의 수가 3만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전세기 투입, 민간항공 증편 등 다양한 방법으로 귀국 작전을 수행했다고 청와대는 자평했다.
윤재관 청와대 부대변인은 이날 청와대 브리핑에서 “정부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세계 어디라도 그곳에 한국인이 있다면 우리 국민의 안전한 귀국 지원을 위해 외교적 역량을 총동원했다”며 “그 결과 지난 22일 기준으로 모두 103개 국가에서 우리 재외국민 3만174명의 귀국 지원을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현지 교민뿐 아니라 유학생이나 여행객 등을 포함한 수치다.
지역별로는 아프리카 29개국, 중남미 20개국, 유럽 17개국, 중동 14개국, 아시아태평양 지역 11개국, 아세안 8개국, 북미 및 동북아 각각 2개국에서 진행됐다.
귀국 지원 방식으로 살펴보면, 우선 군용기를 포함한 전세기 투입 방식으로는 중국 일본 이란 페루 이탈리아 에티오피아 등에서 1707명이 귀국했다. 또 외국 정부와의 교섭을 통한 임시 민간항공 운항(20개국 1만5802명), 현지 공관을 통한 항공권 확보(29개국 804명), 진단키트 및 방역물품 지원항공 활용사례(9개국 2106명) 등도 있었다.
한국 정부가 주선한 임시 항공편엔 23개국 439명의 외국인이 탑승하기도 했다. 윤 부대변인은 “특히 우리 정부는 일본 국민의 자국 귀국에 적극 협력했다”며 13개국, 250명의 일본인이 한국 정부가 마련한 임시항공편을 활용해 귀국했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일본이 주선한 항공편에 한국 국민이 탑승한 사례는 13개국에서 100명으로 집계됐다.
청와대는 한국 상대 입국 제한을 한 국가들로 ‘예외입국’을 한 한국 기업인 수도 6742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해당 국가에는 베트남 중국 우즈베키스탄 폴란드 헝가리 쿠웨이트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부대변인은 “중국의 경우 5월 1일 ‘한·중 신속통로’가 가동된 이래 22일까지 1244명이 입국하는 등 교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며 “베트남에도 기업인 입국이 늘면서 현지에 투자한 중소·중견기업에 힘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