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 소속 21대 국회의원 당선인들이 연말까지 매달 수당과 활동비 명목으로 지급되는 세비 30%를 기부키로 했다. 최근 통합당은 5·18민주화운동 관련 사과와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 참석에 이어 민심잡기에 안간힘을 쓰는 모습이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24일 국회에서 코로나19 재난 극복을 위한 통합당 국회의원 세비 기부 캠페인 선포식을 열었다. 주 원내대표는 “세전 기준 급여 30%를 연말까지 기부할 방침”이라며 “(21대 국회 임기가 시작되는) 6월부터 12월까지 7개월간 의원 한 사람당 2400만원 정도씩 기부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고 말했다.
이후 통합당은 내부 검토 과정을 거쳐 1인당 기부액을 2400만원에서 1600만원으로 정정했다. 당 관계자는 “매달 200여만원을 기부하겠다는 것”이라며 연말까지 세비 30%를 기부한다는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고 설명했다. 어디에 기부할지에 대해선 당 안팎의 의견을 더 모으기로 했다. 선관위 문의를 통해 공직선거법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에서 기부처가 결정될 예정이다.
주 원내대표는 “급여 30% 기부 운동은 통합당의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통합당은 코로나19 사태로 혈액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감안해 전 당원을 대상으로 한 헌혈 캠페인도 추진할 방침이다. 장기 기증 캠페인도 추진 중이다.
통합당이 적극적으로 캠페인을 벌이는 이유는 4·15 총선 참패로 확인된 싸늘한 민심을 되돌리기 위한 것이다. 주 원내대표는 5·18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기 전인 지난 16일 “이유를 막론하고 다시 한번 5·18 희생자와 유가족, 상심하셨던 모든 국민 여러분께 매우 안타깝고 죄송한 마음을 전한다”고 사과했다. 주 원내대표는 지난 23일 노 전 대통령 11주기 추도식에 참석하기도 했다. 보수정당 대표급 인사가 노 전 대통령 추도식에 참석한 것은 4년 만이었다.
과거와 달라진 통합당 행보에는 총선 참패 이후에도 환골탈태하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위기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갤럽이 지난 19~21일 전국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통합당 지지율은 18%로 저조했다. 이는 무당층(22%)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