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지급한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에 대해 “잘했다”는 평가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지난 15~16일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에 대한 효과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22일 결과를 발표했다.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된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했으며,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 ±3.1%p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지급에 대해서는 압도적인 다수(90%)가 잘했다고 평가했다. 이는 최근 실시한 자영업·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결과(잘했다 89%)와도 비슷했다. 도민의 87%는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이 코로나19로 인한 자영업자 경영난 극복에 도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지급이 가정 살림살이 도움에 대한 물음에는 도민의 85%가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신청방법과 지급방식, 사용처 등 정책 추진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는 ‘만족한다’ 74%, ‘보통이다’ 20%, ‘불만족한다’ 6%로 나타났다.
세부속성별 만족률을 비교해보면 지급 신속성(77%), 신청방법 편리성(72%), 신청정보 접근용이성(70%) 등에 대한 만족률이 높은 반면, 사용정보 접근 용이성(58%), 가맹점수 만족도(59%)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사용자(818명)들은 ‘평소 가던 대형마트 대신 동네가게를 이용’(80%), ‘한 번도 이용하지 않았던 새로운 동네가게를 이용’(33%), ‘전통시장을 방문’(34%) 하는 등의 소비패턴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와 같은 소비패턴 변화 경험자(709명)의 85%는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사용을 위한 목적이 아니더라도 동네가게나 전통시장을 ‘재방문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이 코로나19 기간 중 자영업자 매출증대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신규고객 유입 등 지속가능한 골목상권 활성화에도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도는 설명했다.
최대 사용처로는 슈퍼마켓, 편의점, 농·축협 직영매장 등 유통업(49%)이 가장 많았고 식당, 카페, 주점 등 일반음식점(31%)이 그 뒤를 이었다.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을 얼마나 사용했는지에 대한 물음에 신청자의 36%가 모두 사용했다고 응답했으며, 61%는 현재 사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청자의 평균 사용률은 약 65%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곽윤석 경기도 홍보기획관은 “코로나19로 인한 가계 및 지역경제 위기 상황에서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지급이 시의적절한 조치였음을 확인했다”며 “코로나19 종식 이후에도 골목상권이 계속해서 활성화되도록 소비 진작 캠페인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겠다”라고 말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