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21일 전국 47곳 도도부현(광역자치단체) 중 8곳에 남아있던 긴급사태 조치를 일부 해제했다. 해제 대상은 오사카부, 교토부, 효고현 등 간사이 지역 광역자치단체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이날 오후 6시쯤 총리 관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간사이 지역 광역자치단체 3곳에 내려진 코로나19 긴급사태 선언을 해제한다고 밝혔다. 지난 14일 39곳에서 긴급사태 선언이 해제된 후 두 번째 동시 해제 조치다.
도쿄도를 비롯해 가나가와현, 지바편, 사이타마현 등 수도권 지역과 훗카이도에 내려진 긴급사태는 유지된다. 이로써 전국 47곳 도도부현 중 긴급사태 선언이 유지되는 지역은 5곳만 남게 됐다. 다만 일본 정부는 긴급사태 조치가 풀린 뒤 코로나19 감염이 재확산되는 징후가 나타나는 광역자치단체의 경우 신속히 긴급사태 선포 지역으로 재지정한다는 방침이다.
오사카권과 수도권의 운명이 엇갈린 이유는 긴급사태 해제 기준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한 광역자치단체의 최근 일주일 신규 확진자 합계가 인구 10만명당 0.5명 이하일 경우 긴급사태를 해제하기로 했는데 오사카권은 이를 충족했지만 수도권은 그렇지 못했다.
NHK 집계에 따르면 지난 14~20일 도쿄도에서는 10만명당 0.56명, 가나가와현은 1.11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사이타마현과 지바현은 각각 0.31명, 0.21명으로 기준은 충족했지만 권역별로 해제 여부를 결정한다는 일본 정부의 방침에 따라 긴급사태가 유지됐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