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지난 7일 기자회견을 연 뒤 2주 동안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당선인과 정의기억연대(정의연)를 둘러싼 의혹과 해명이 이어지고 있다.
가장 큰 쟁점은 ‘평화와 치유가 만나는 집(이하 쉼터)’이었다. 매입부터 매각까지 모든 단계에 걸쳐 의혹이 제기됐다. 정의연은 2013년 경기도 안성 소재 단독주택을 당시 주변 시세보다 높은 가격인 7억5000만원에 구입했다가 지난달 구입가격의 절반 정도에 매도했다. 이 과정에서 이규민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이 건축업자 김모씨와 윤 당선인 측을 이어줬다. 정의연은 “좋은 자재로 지은 집이어서 비싸게 산 건 아니다”라면서도 “기부금에 손실이 발생하게 된 점은 송구하다”고 해명했다.
정의연은 쉼터 관리인으로 윤 당선인 부친을 지정한 점에 대해서도 “사려깊지 못했다”고 사과했다. 쉼터를 펜션처럼 사용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연대단체에게 대여해주고 사용료를 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논란은 이어지고 있다. 당장 건축공법 등을 고려할 때 정의연이 밝힌 평당 건축비 600만원이 과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윤 당선인과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관계자 등이 탈북여성들을 이곳으로 불러 회유했다는 의혹도 불거졌다.
개인계좌 모금과 관련해서도 의혹이 제기됐다. 윤 당선인은 법인 계좌 대신 본인 명의 계좌로 피해자 할머니들의 외국 순회 경비, 장례 조의금, 국외 구호 사업에 쓰일 돈 등을 걷었다.
모금액 일부가 빈 정황까지 드러났다. 윤 당선인은 2014년 ‘베트남 우물 사업’에 쓰겠다며 개인 계좌로 모금을 진행했다. 그런데 모금액이 1700만원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윤 당선인은 1200만원을 베트남에 전달했다.
개인 계좌 모금은 윤 당선인의 재산을 둘러싼 논란과 연결됐다. 의혹을 키운 건 해명 번복이었다. 지난 18일 오전에는 “전에 살던 아파트를 처분한 자금”이라고 밝혔다가 그날 오후 “적금을 깨고 돈을 빌렸다”고 말을 바꿨다. 딸의 유학자금도 당초 장학금이라고 밝혔다가 후엔 남편의 형사보상금이라고 했다.
정의연의 회계 공시는 기부금 유용 의혹을 자초했다. 사업비 지급처를 한 곳만 기재하거나 수혜인원을 99명, 999명 등으로 기재했다. 2014~2019년엔 한 사회적 기업으로부터 6억원 넘게 기부받고도 1억1000만원 가량만 공시했다.
윤 당선인과 정의연에 대한 검찰 수사는 본격화되고 있다. 검찰이 빠르게 강제수사에 돌입하면서 윤 당선인을 이른 시일 내 소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서울서부지검 형사4부(부장검사 최지석)는 21일 서울 마포구 연남동에 있는 ‘평화의 우리집’을 압수수색했다. 2013년 서울 명성교회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생활 터전으로 대여해준 공간이다. 현재 길원옥 할머니가 살고 있고 윤 당선인의 주민등록상 주소지로도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일부 자료가 보관돼 있어 추가 영장을 발부받았다”고 설명했다.
정의연은 “길원옥 할머니께서 계시는 쉼터에 영장을 집행하러 온 검찰의 행위는 위안부 운동과 피해자에 대한 심각한 모독이자 인권침해 행위“라고 반발했다. 앞서 검찰은 전날 오후 5시부터는 정의연 사무실 등을 12시간에 걸쳐 압수수색했다.
송경모 황윤태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