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교산·과천 3기신도시서 강남까지 20~30분이면 이동

입력 2020-05-21 16:10
수도권 30만채 공급대책에 따라 추진 중인 3기 신도시의 첫번째 광역교통개선대책이 모습을 드러냈다. 경기도 하남시 교산 3기 신도시에 송파~하남 간 도시철도가 건설돼 강남역까지 30분 만에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과천지구의 경우 광역급행철도(GTX) C노선인 정부과천청사역과 위례~과천 선을 연장해 잇는다.

국토교통부는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심의를 거쳐 신도시 5곳 가운데 하남 교산 지구(3만2000채) 그리고 미니 신도시급인 과천지구(7000채)의 광역교통개선대책을 확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광역교통개선대책은 신도시 조성 및 신규 교통대책 추진에 따른 교통량 변화 등을 교통전문기관의 용역, 한국교통연구원(KOTI) 검증, 지방자치단체 협의, 위원회 심의 등의 과정을 거쳐 확정됐다. 국토부는 “3기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은 서울 잠실·강남 등 도심까지 30분내로 출퇴근이 가능하도록 지하철 등 대중교통 투자를 확대하는게 목표다“고 설명했다.

하남교산 지구 교통대책의 핵심사업은 하남에서 송파구 등 서울 주요 도시권을 연결하는 송파~하남 간 도시철도를 건설하는 것이다. 사업비는 1조5401억원으로 2023년 착공해 2028년까지 완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철도가 완공되면 기존 잠실 방면 통행시간이 50분에서 20분으로 단축되고, 강남역까지는 65분에서 30분으로 단축될 것으로 국토부는 전망했다.

또 국토부는 대중교통을 이용해 하남-서울 간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동남로 연결도로에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하고, 천호~하남 BRT를 지구 내 환승거점까지 도입할 예정이다. 서울 중앙보훈병원역(9호선)에도 환승시설을 설치하여 대중교통 이용도를 높인다. 지구 북측의 하남드림휴게소에는 고속·광역·시외↔시내버스 간 환승이 가능한 종합 환승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서울방면 교통수요를 분산하고자 동남로 연결도로를 신설한다. 교통유입에 따른 도로용량 확보를 위해 동남로를 확장(5~6차로→6~8차로)한다. 서하남로 부분확장, 위례성대로 교통체계개선(신호체계 개선 및 차로조정 등) 대책도 시행할 계획이다.

과천 지구의 경우 위례~과천선 연장 등 10개 사업에 7400억원을 투입해 교통망을 확충한다. GTX C노선 정부과천청사역과 위례~과천 선을 잇는 신규 구간을 짓는 게 핵심 사업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위례~과천 선이 GTX C노선과 연결돼 서울 강남, 수도권 남부 지역으로의 이동이 편리해질 것이다”고 설명했다. 다만 4000억원의 예산이 들어갈 예정이라 향후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해야 한다.

상습 정체를 해소하는 것도 주요 과제다. 국토부는 과천대로 등 남북측 도로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민자사업인 이수~과천 간 복합터널 사업에 사업비 100억원을 지원한다. 동서방향을 잇는 양재도로 교통량을 분산하기 위해 과천대로~헌릉로 연결도로를 신설하고, 청계산 지하차도~염곡 IC 도로구조개선사업도 함께 추진한다.

과천~우면산 간 도시고속화도로를 지하화(상아벌지하차도∼선암IC)하고, 상아벌 지하차도 확장 및 통합(4차로→6차로) 사업도 진행한다. 서울 사당역과 안양을 연결하는 간선급행버스체계(BRT)가 설치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국토부 관계자는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기본계획 수립, 설계 등 후속절차를 추진하는 동안 확정하겠다. 남양주 왕숙, 인천 계양, 고양 창릉, 부천 대장 등 나머지 4개 신도시의 교통대책도 연말까지 순차적으로 확정해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