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암이 발병해 큰 아픔을 겪고 있는 전북 익산 장점마을 주민들이 또 뿔났다. 지난 해 4월 청구한 공익 감사에 대해 감사원이 처리에 늑장을 부리고 있다고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익산 장점마을 주민대책위원회와 장점마을 환경비상대책 민관협의회 소속 민간위원들은 21일 성명서를 내고 감사원의 장점마을 집단 암 발병 사건에 대한 공익 감사를 빠른 시일내에 마무리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지난 해 4월 청구한 감사가 1년이 넘게 지났는데도 감사원은 자세한 설명도 없이 애매한 이유를 들어 최근 ‘감사 처리기간 연장’ 통지를 했다”며 “감사원의 늑장 행위로 고통 받고 있는 주민들은 속이 타들어 가는 심정이고 장점마을 사태의 진실이 규명되길 바라는 익산시민 또한 실망이 무척 크다”고 주장했다.
감사원은 지난 14일 최재철 장점마을 주민대책위원장에게 우편을 보내 장점마을 감사 청구건에 대해 “2019년 8월25일 감사를 실시하기로 결정하여 처리중에 있으나 일부 사항에 대한 추가 확인 및 검토가 필요한 등의 사유로 인하여 감사 처리 기간이 연장되었음을 알린다”고 밝혔다.
이에 대책위와 민관협의회 민간위원들은 “환경부 역학조사와 사법기관의 조사로 관리·감독 부재와 불법행위가 드러났는데도 불구하고 감사를 청구한지 1년이 넘어가도록 감사원에서 감사를 마무리하지 않는 이유를 이해할 수 없다”며 “감사원은 장점마을 주민들의 고통을 조금이나마 헤아린다면 빠른 시일 내에 감사를 마무리하고, 책임 소재를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해 4월22일 장점마을 주민과 익산지역 17개 시민사회단체는 시민 1072명의 서명을 받아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청구했다.
이들은 당시 환경 유해 물질 배출원으로 지목된 (유)금강농산에 대한 감시·감독 의무가 있는 익산시와 전북도가 그 책임을 다했는지 감사를 통해 밝혀달라고 요청했다. 주민들과 시민단체들은 ‘비료공장인 (유)금강농산이 수년 동안 연초박을 퇴비로 사용하지 않고 불법으로 가열 공정이 있는 유기질 비료 원료로 사용하였고, 2016년 11월 28일 폐기물 처리업을 폐업 신고한 이후에도 공장 내 잔여 폐기물이 처리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었는데도 익산시와 전북도가 이를 제대로 관리‧감독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장점마을에서는 2001년 이 공장이 들어선 이후 주민 99명 가운데 34명(환경부 발표는 22명)이 각종 암에 걸려 이 가운데 17명이 숨졌다.
환경부는 지난 해 11월 14일 ‘익산 장점마을 환경오염 및 주민건강 실태조사’를 통해 (유)금강농산이 퇴비 원료로 재활용되어야 할 연초박을 법을 어겨 가열 공정이 있는 유기질 비료 원료로 사용하였고, 이 과정에서 TSNA라는 발암물질 배출돼 주민들의 암 집단 발병과 역학적 관련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